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危急脊薄)[그리져리구경하고 16 페이지 / 전적]

위급척박(危急瘠薄).

17) 청축성인(請祝聖人)[낙지가 4 페이지 / 전적]

성인의 축원을 청한 바. 성인축복

1식(息)[백세보중(百世葆重 一)1 19 페이지 / 전적]

식은 길이를 셈하는 단위로 길을 가는 사람이 한번씩 쉴 거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30리를 이름.

3.8의 목(木)은 동쪽[퇴계선생등루가(退溪先生登樓歌) 2 페이지 / 전적]

본 어구를 비롯하여 본 가사의 사설에 나오는 ‘4.9의 금(金)은 서쪽’, ‘2.7의 화(火)는 남쪽’, ‘1.6의 수(水)는 북쪽’ 등의 어구

5.10의 토(土)[퇴계선생등루가(退溪先生登樓歌) 1 페이지 / 전적]

5․10의 토(土) : 다음의 근거에 의해 쓰여 오던 말임. 1.3.5.7.9의 양수(陽數)는 민속상 각각 오행(五行)의 수.목.토.금.화에 해당하고, 방위로는 역시 같은 오행의 원리에 의해 각각 북.동.중앙.서.남을 가리킨다. 또한 위에 든 양수를 2.4.6.8.10 등 음수(陰數)와 짝짓는 음양 대응 단위로 이르면, 1.6, 2.7, 3.8, 4.9, 5.10의 다섯으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수의 배치는 원래 ‘하도낙서(河圖洛書)’, 즉 하도의 수와 낙서의 수 배치로부터 연유하였는데, 전자는 하(下)에 1.6을, 상(上)에 2.7을, 좌(左)에 3.8을, 우(右)에 4.9를, 중(中)에 5.10의 배치이고, 후자는 1부터 9까지를 대상으로 하여 중에는 5, 상에는 9, 하에 1, 좌에 3, 우에 7, 좌견(左肩)에 4, 우견(右肩)에 2, 좌족(左足)에 8, 우족(右足)에 6, 중(中)에 5의 배치로 되었음.

<>[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1 페이지 / 두루마리]

원문에 빠진 부분은 이후 김기동 · 전규태 편,

<>[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4 페이지 / 두루마리]

원문에 빠진 부분. 김기동 · 전규태 편,

<>[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5 페이지 / 두루마리]

원문에 빠진 부분. 김기동 · 전규태 편,

<>[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10 페이지 / 두루마리]

원문에 빠진 부분. 김기동 · 전규태 편, 「한국고전문학 100」 20권, (서문당, 1984.)에서 보충함

<>[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12 페이지 / 두루마리]

원문에 빠진 부분. 김기동 · 전규태 편, 「한국고전문학 100」 20권, (서문당, 1984.)에서 보충함

<>[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12 페이지 / 두루마리]

원문에 빠진 부분. 김기동 · 전규태 편, 「한국고전문학 100」 20권, (서문당, 1984.)에서 보충함.

<赤壁賦>[의향소창가 15 페이지 / 전적]

소동파(소자첨)가 임술년 가을 7월 기망일(16일)에 손님과 적벽 아래 배를 띄우고 놀았다는 내용의 문장.

<赤壁賦>[리행소챙가 8 페이지 / 전적]

소동파(소자첨)가 임술년 가을 7월 기망일(16일)에 손님과 적벽 아래 배를 띄우고 놀았다는 내용의 문장.

<춘야연 도리원 서(春夜宴 桃李園 序)>[의향소창가 14 페이지 / 전적]

이백의 시 제목.

<춘야연 도리원 서(春夜宴 桃李園 序)>[리행소챙가 8 페이지 / 전적]

이백의 시 제목.

[분재기(分財記) 1 페이지 / 두루마리]

원전의 글자가 흐려서 판독하기 어려운 곳의 표시이다. 이하 모두 이와 같다.

∝ 다 갚아서[착현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원문에는 ‘다갑하서’로 되어 있는데 앞뒤 문맥의 의미로 보아서 ‘못’이 필사 과정에서 빠진 것으로 생각된다. 그래서 ‘못’ 대신 ‘∝’을 넣었다.

∝∝∝∝ ∝∝ ∝∝[쳑사대희승부가(쳑사희승부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이는 가사의 원전에서 판독 불가한 곳의 표시인바,『시경(詩經)』의 출전을 좇아 이곳 본문의 원문을 들면 다음과 같다. “在河之洲 窈窕淑女”

∝∝산(∝∝山)[민탄가(民歎歌) 16 페이지 / 전적]

중국의 백이(伯夷)·숙제(叔齊) 형제가 절의를 지키며 고사리를 캐어 먹었다는 수양산(首陽山)을 말하는 듯함.

∝∝산(∝∝山)[어부사(漁父辭) 2 페이지 / 전적]

중국의 백이(伯夷)·숙제(叔齊) 형제가 절의를 지키며 고사리를 캐어 먹었다는 수양산(首陽山)을 말하는 듯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