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一春(일춘)[분재기(分財記) 3 페이지 / 두루마리]

여자의 출생을 부정적으로 여긴 나머지, 한때의 봄에 불과하다고 얕잡아 이름으로 말미암아 호칭된 계집종 이름의 차자로 보인다. 또한, 비록 천한 계집종으로 출생하였지만, 한때의 봄처럼 여겨진다는 데서 호칭한 이름의 차자로도 생각할 수 있다.

一龍一猪顯于格(일룡일저현우격)[정종대왕권학가(正宗大王勸學歌) 13 페이지 / 전적]

용과 돼지처럼 품격이 현격하다. 배우고 못배운 것이 용과 돼지처럼 그 품격에서 차이가 난다는 말이다. 일룡일저(一龍一猪)는 사람의 어질고 어리석음이 뚜렷하게 드러남을 비유하는 말이다.

一龍一猪顯于格(일룡일저현우격)[인택가(仁宅歌) 2 페이지 / 전적]

용과 돼지처럼 품격이 현격하다. 배우고 못배운 것이 용과 돼지처럼 그 품격에서 차이가 난다는 말이다. 일룡일저(一龍一猪)는 사람의 어질고 어리석음이 뚜렷하게 드러남을 비유하는 말이다.

一六水(일육수)가 北門(북문)이다[인택가(仁宅歌) 4 페이지 / 전적]

양일(陽一) 음육(陰六)은 음양오행의 수(水)로 북방을 가리킨다. 주역 하도(河圖)의 설명이다.

丁丑九月 十七日[용화출세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1937년(단기 4270년) 9월 17일.

丁代(정대)[분재기(分財記) 1 페이지 / 두루마리]

인명에는 민속어(民俗語) 가운데 십간(十干)의 각 글자를 내세워 호칭한 경우가 적지 않다. 甲吉, 乙年, 丙金, 丁非----등의 이름에서 두음절(頭音節)의 쓰임이 그러하다. “丁”은 십간의 차례에서 넷째에 해당하고, 오행(五行)으로 화(火)에 속하며, 방향으로는 남(南)을 가리키므로, 작명에도 이러한 민속적 관념의 어느 요소가 전제되었을 법하다. 또한 “代”는 앞에서 소개한 “石代”와 같은 계열의 인명 접미사이다. (주 15 참조)

丁酉年[용화출세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1957년.

丁非(정비)[분재기(分財記) 1 페이지 / 두루마리]

앞에 든 “丁代”라 한 노비명과 같이 민속상의 관념에서 십간 중 넷째로 드는 “丁”을 취하여 음차한 계집종의 이름이다. 생각건대 넷째로 출생한 딸이라는 데서 호칭된 이름인 듯하다. 아울러 후음절의 “非”는 노비명 가운데 접미사로 쓰인 대표적인 차자로서 거의 여비(女婢)의 이름에 전용된 특색 있는 인명 차용자이다. (주 12, 29 참조)

七寶瓔珞(칠보영락)[제삼별회심곡(第三別囬心曲) 17 페이지 / 전적]

칠보는 경전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법화경에서는 금, 은, 유리, 진주(珍珠), 차거(硨磲), 매괴(玫瑰)라 했고, 무량수경에서는 금, 은, 유리, 파려(玻瓈), 차거(硨磲), 산호(珊瑚), 마노(瑪瑙)라 했고, 반야경에서는 파려(玻瓈) 대신 호박(琥珀)을 넣었다. 영락(瓔珞)은 구슬을 꿰어 만들 목걸이로 불상의 신변에 드리운 주옥의 장식을 말한다.

七寶瓔珞(칠보영락)[제오몽환가(第五夢幻歌) 2 페이지 / 전적]

칠보는 경전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법화경에서는 금, 은, 유리, 진주(珍珠), 차거(硨磲), 매괴(玫瑰)라 했고, 무량수경에서는 금, 은, 유리, 파려(玻瓈), 차거(硨磲), 산호(珊瑚), 마노(瑪瑙)라 했고, 반야경에서는 파려(玻瓈) 대신 호박(琥珀)을 넣었다. 영락(瓔珞)은 구슬을 꿰어 만들 목걸이로 불상의 신변에 드리운 주옥의 장식을 말한다.

七星殿(칠성전)[십보가(十步歌) 4 페이지 / 전적]

칠성각(七星閣). 북두성의 일곱 성군, 즉 칠원성군(七元星君)을 모신 집.

七月流火(칠월류화)[규중여자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칠월이면 대화성이 기울어 흐르고.

七縱七擒(칠종칠금)[십보가(十步歌) 4 페이지 / 전적]

제갈량이 남이(南夷)의 추장 맹획(孟獲)을 일곱 번 잡았다가 일곱 번 놓아주었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 마음대로 잡았다 놓아주었다 함을 이르는 뜻이다.

七重羅網(칠중나망)[제오몽환가(第五夢幻歌) 5 페이지 / 전적]

일곱 겹으로 친 그물. 나망(羅網)은 주옥(珠玉)을 그물 모양으로 엮은 장식물.

七重欄楯(칠중난순)[제오몽환가(第五夢幻歌) 5 페이지 / 전적]

일곱 겹으로 친 난간.

三八木(삼팔목)이 東門(동문)이요[인택가(仁宅歌) 3 페이지 / 전적]

양삼(陽三) 음팔(陰八)은 음양오행의 목(木)으로 동방이요. 주역(周易)의 하도(河圖)를 설명한 것이다.

三十三天[용화출세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불교에서 말하는 천상의 세계. 우주의 운행과 운수.

三十三界[용화출세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우주와 대칭을 이루는 지상의 세계. 현상계.

三十六計(삼십육계)[인택가(仁宅歌) 6 페이지 / 전적]

삼십육책(三十六策). 삼십육계주위상계(三十六計走爲上計). 궁지에 몰려 별다른 계책이 없을 때는 도망하는 것이 가장 좋은 계책이라는 말이다.

三十六計(삼십육계)[십보가(十步歌) 2 페이지 / 전적]

삼십육책(三十六策). 삼십육계주위상계(三十六計走爲上計). 궁지에 몰려 별다른 계책이 없을 때는 도망하는 것이 가장 좋은 계책이라는 말이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