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分給(분급), 爲在果(거과)[분재기(分財記) 1 페이지 / 두루마리]

(주 5 참조), (주 7 참조)

初入仕(초입사)에 翰林主事(한림주사)[정종대왕권학가(正宗大王勸學歌) 9 페이지 / 전적]

처음 벼슬길에 들어서서 한림과 주사를 지내고.

別差(별차)[정종대왕권학가(正宗大王勸學歌) 12 페이지 / 전적]

정례에 따른 벼슬이 아닌 별도로 임명한 벼슬아치.

別差(별차)[인택가(仁宅歌) 1 페이지 / 전적]

정례에 따른 벼슬이 아닌 별도로 임명한 벼슬아치.

刺股讀書(자고독서) 蘇秦(소진)이난[정종대왕권학가(正宗大王勸學歌) 5 페이지 / 전적]

잠을 쫒기 위하여 허벅지를 송곳으로 찌르며 독서했던 소진의 고사. 소진은 춘추전국시대에 낙양(洛陽)사람이다. 처음에 진혜왕(秦惠王)에게 갔으나 등용되지 못하자, 제(齊)나라 임금을 설득하여 초(楚)?연(燕)?조(趙)?한(韓)?위(魏)나라와 합종하여 6국의 재상이 되고 진나라가 함곡관(函谷關)을 넘보지 못하게 했다.

功德[용화출세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최제우의 龍潭遺事 중에서 興比歌 제6절에 나오는 구절.

加叱非(가질비)[분재기(分財記) 2 페이지 / 두루마리]

더질비. 행동이나 하는 일 등이 정상보다 퍽 느리다는 데서 차자된 계집종의 이름이다. 표준어 “더디다”는 일상의 구어에서 흔히 어간의 끝음절에 구개음화가 생기어 “더지다”라고 발음된다. 따라서 한자 “加”(더할 가)는 어간 “더지”의 앞 음절을 훈차한 것이고, “叱”(꾸짖을 질)은 그 후음절의 음차로 생긴 차자이다. 거기에 다시 여성명의 접미사로 관용하는 “〜非”를 첨가시킨 3자 인명의 표기가 곧 “加叱非”이다. “加進介”(더진개)나 “加叱今”(더질금)

加叱非(가질비)[분재기(分財記) 2 페이지 / 두루마리]

더질비. (주 146 참조)

加叱非(가질비)[분재기(分財記) 2 페이지 / 두루마리]

더질비. (주 146, 166 참조)

加知(가지)[분재기(分財記) 1 페이지 / 두루마리]

강아지. 어린 노비를 귀엽게 여겨 강아지라고 부름으로써 그 호칭을 음차한 사내종의 이름이다. “가지”는 “강아지”의 약칭인데, 이는 지역에 따라 일상어에서 그대로 나타나는 말이다. “강아지”를 차자 표기한 인명에 江阿知, 姜兒知, 加知 등의 이형이 있음은 이를 의미한다. 그리고, 뒤 음절의 “〜知”는 犬也知(강아지), 道也知(돼지), 召央知(송아지)----등의 노비명에서와 같이 흔히 접사 “〜지”(〜아지 : 일부 동물을 나타내는 명사에 붙어 “새끼”,

加進介(가진개)[분재기(分財記) 2 페이지 / 두루마리]

더진개. 평소의 행동이나 일 등이 더디며 ,퍽 느린 계집종을 일러 호칭한 이름의 차자 표기이다. “더디다”의 방언 “더지다”의 어근을 차자 표기하는 데에 한자 “加”(더할 가)의 훈차와 “進”(나아갈 진)의 음차를 결합시키고, 거기에 인명 접미사로 관용하는 “〜介”를 취하여 3자 표기의 노비명을 이룬 셈이다. 加叱非, 加叱今----등과 같은 계열의 작명이다. (주 146 참조)

勸馬聲[정종대왕권학가(正宗大王勸學歌) 10 페이지 / 전적]

임금이나 지체가 높은 관리가 거동할 때, 위세를 더하기 위하여 앞에서 하졸들이 목청을 가늘고 길게 빼어서 부르는 소리.

勺德(작덕)[분재기(分財記) 1 페이지 / 두루마리]

작더기, 작덩이, 짝대, 짝대기. 대상을 천시하여 가볍게 여기는 작명 의식에서, 긴 막대기를 뜻한 “작대기”를 음차한 계집종의 이름이다. “爵大”라 한 이름과 동궤의 인명 차자 표기이다. 구어의 호칭으로서 “작덕이(勺德伊)”를 전제한다면 이는 ”伊“의 생략형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뒤 음절의 ”德“은 작명에 관용되던 대표적인 차자인데, 여기서는 가늘고 긴 막대기를 이르는 ”대“의 음차자이다. (주 22, 38, 127 참조)

化字(화자), 代田(대전)[분재기(分財記) 3 페이지 / 두루마리]

상대방 여자를 얕잡아 호칭하되 “동냥아치(동냥치)”, 또는 “거지(거러지)”라 이른 데서 한자 “化”(중이 동냥할 화)와 “字”(암컷 자)의 훈을 좇아 차자한 이름의 표기이다, (주 201 참조)

區處(구처)[분재기(分財記) 2 페이지 / 두루마리]

구별하여 처리하는 것.

十二會[용화출세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우주의 운행원리에 따른 시간, 邵康節(1011~1077)의 황극경세서에 나오는 말로 元, 會, 運, 世의 周天원리. (1會)10860년×12=1元(130,320년의 시간).

十字街(십자가)[십보가(十步歌) 5 페이지 / 전적]

십자로(十字路).

十常八九(십상팔구) 害吾人(해오인)아[십보가(十步歌) 5 페이지 / 전적]

십 중 팔구는 우리를 해롭게 하는 것인가.

十年求山(십년구산)에 家後葬(가후장)이나소[십보가(十步歌) 5 페이지 / 전적]

십 년간 좋은 장지를 구하다가, 구하지 못하고 집 뒤에 장사를 지낸다는 뜻이다.

十惡業(십악업)[제오몽환가(第五夢幻歌) 6 페이지 / 전적]

불교에서 말하는 10가지 악업. 살생, 투도, 사음 등의 신업(身業)과, 망어, 기어, 양설, 악구 등의 구업(口業)과, 탐욕, 진에, 우치 등의 의업(意業)을 말한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