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三千弟子(삼천제자) 七十二人(칠십이인)[인택가(仁宅歌) 4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제자를 통털어 일컫는 말이다. 공자는 제자가 3천명이었고, 그 중에서 72명은 현철(賢哲)한 제자였다고 한다.

三台六卿(삼태육경)[인택가(仁宅歌) 6 페이지 / 전적]

영의정, 우의정, 좌의정, 세 정승과 육조의 판서.

三台六卿(삼태육경)[십보가(十步歌) 2 페이지 / 전적]

영의정, 우의정, 좌의정, 세 정승과 육조의 판서.

三惡途(삼악도)[제오몽환가(第五夢幻歌) 7 페이지 / 전적]

중생이 죄를 지어 죽은 뒤에 간다는 지옥도, 축생도, 아귀도의 세 가지 괴로운 길.

三日馬頭(삼일마두)[정종대왕권학가(正宗大王勸學歌) 9 페이지 / 전적]

삼일유가(三日遊街)를 말함.

三淸[송강집(松江集二)2 50 페이지 / 전적]

도가(道家)에서 옥청(玉淸) 상청(上淸) 태청(太淸)이라 청하는데 다 신선 이 사는 궁전임.

三淸殿[용화출세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太淸, 上淸, 玉淸으로 神仙이 산다는 天上界.1949년 강증산 부부의 무덤으로 완성한 건물.

三界[용화출세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欲界(人間界), 色界(物質界), 無色界(精神界).

三界(삼계)[제삼별회심곡(第三別囬心曲) 16 페이지 / 전적]

불교에서 말하는 중생이 생사왕래하는 세 가지 세계. 곧 욕계(欲界), 색계(色界), 무색계(無色界).

三界(삼계)[제오몽환가(第五夢幻歌) 1 페이지 / 전적]

불교에서 말하는 중생이 생사왕래하는 세 가지 세계. 곧 욕계(欲界), 색계(色界), 무색계(無色界).

三綱[친목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君爲臣綱·父爲子綱·夫爲婦綱

不祥金[석천집(石川集二-一)2-1 91 페이지 / 전적]

쇠가 만약 용광로에서 뛰어나와 「내가 干將 莫鎁(보검)가 되겠다」 한다면 大冶가 반 드시 不祥之金 이라고 할 것이다.「莊子」

不遷(불천)[분재기(分財記) 1 페이지 / 두루마리]

불천지위(不遷之位). 큰 공으로 영구히 사당에 모시는 것을 나라에서 허락한 신위.

世龍仇(세룡구라)[분재기(分財記) 2 페이지 / 두루마리]

세룡굴, 시렁굴. 땅이나 바위가 깊숙하게 안으로 패어 들어간 곳, 즉 굴(窟)의 이름인데, “굴”은 또 “고을, 골”까지를 포괄해서 이르기도 한다. 위에서 “仇”는 “仇”(원수 구)와 “”(羅의 약자, 비단 라)의 결합으로 그 본래의 독음은 “구라”이지만, 1음절인 “굴”을 음차하기 위해 조자 형식으로 2자 표기를 취한 것이다. 그리고 앞 음절의 “世”는 남도 방언에서 “시”라고 발음하던 것의 차자이다. 즉 물건을 올려놓는 “시렁”의 음차 표기가 곧

丙戌(1946)년[용화출세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용호리와 구미안에서 공동생활을 시작함.

中天의 蜉蝣같고[친목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하늘에 떠있는 하루살이 같고.

主人峰(주인봉)[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3 페이지 / 전적]

풍수상의 주봉(主峰), 오행(五行)에 따라 각 성씨(姓氏)에 따라 배분되어 있음.

么麽(요마)[김진사최유가라(金進士催遊歌라) 2 페이지 / 전적]

하루살이.

乎音橋(호음교), 戒倫(계륜)[분재기(分財記) 4 페이지 / 두루마리]

홈다리. (주 290 참조), 세상살이를 조심하며 인륜을 잘 지켜 나가기를 바라는 뜻에서 호칭한 인명으로 보인다. 한자 “戒”(조심할, 지킬 계)와 “倫”(인륜, 떳떳할 륜)을 합성한 이름인 점으로 미루어 교시적인 작명이라 하겠다.

乎音橋(호음교), 銀海(은해)[분재기(分財記) 3 페이지 / 두루마리]

홈다리. (주 290 참조), (주 314 참조)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