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仙佛(선불)[유도가 1 페이지 / 전적]

①신선과 부처를 아울러 이르는 말.②선도(仙道)와 불도(佛道)를 아울러 이르는 말.

仙佛(선불)[천지가 1 페이지 / 전적]

①신선과 부처를 아울러 이르는 말.②선도(仙道)와 불도(佛道)를 아울러 이르는 말.

代田(대전)[분재기(分財記) 2 페이지 / 두루마리]

해마다 장소를 바꾸어 경작하는 전지(田地)

代田(대전)[분재기(分財記) 2 페이지 / 두루마리]

(주 201 참조)

代田(대전)[분재기(分財記) 3 페이지 / 두루마리]

(주 201 참조), (주 84 참조)

代田(대전)[분재기(分財記) 3 페이지 / 두루마리]

(주 201 참조)

代田(대전), 幷以(갋, 아오로)[분재기(分財記) 3 페이지 / 두루마리]

(주 201 참조), (주 115 참조)

以(으로), 更良(가새아), 爲旀(며)[분재기(分財記) 1 페이지 / 두루마리]

〜으로, 다시, 〜하며.

以乎(이온), 等(든, 들), 用良(), 以乎等用良(이온것)[분재기(分財記) 3 페이지 / 두루마리]

〜으로는, 〜인. 것, 줄(형식 명사) 〜(으로)써. 써서, 써. (조격조사) 〜인 것으로써.

仲介(중개)[분재기(分財記) 2 페이지 / 두루마리]

어떤 문제를 해결할 때에 제3자로서 당사자간의 주선을 잘하는 사람을 두고 이르는 계집종 이름에 대한 차자표기이다. 이때의 “介”는 중간에 개입한 사람임을 뜻하면서, 또한 인명 접미사로서의 쓰임과 일치하다는 데에 작명의 차자 표기임을 극명하게 하고 있다.

件里介(건리개)[분재기(分財記) 2 페이지 / 두루마리]

바리개, 발이개. 얼굴이나 그 형상이 바리를 닮음으로 인하여 호칭된 계집종의 이름이다. 앞에 든 “件里同”(바리동)이 사내종의 호칭임에 대하여, 이는 “件里德”(바리덕)과 같이 계집종 호칭의 표기이다. “·〜同”은 즉 남성의 이름에 관용된 인명 접미사인데, 상대적으로 “〜介”와 “〜德”은 남성과 여성의 이름에 두루 쓰이면서도 후자의 호칭에 보다 빈도 높게 관용된 인명 접미사이다. (주 56, 151, 176, 260 참조)

件里同(건리동)[분재기(分財記) 2 페이지 / 두루마리]

바리동(둥), 발이동(둥). 놋쇠로 만든 여자의 밥그릇, 또는 중의 공양 그릇을 “바리”라고 하는데, 얼굴이 이러한 밥그릇을 연상케 하는 사내종을 두고 호칭한 이름의 차자 표기이다. 한편, 한자 “件”(조건, 가지 건)의 훈으로 일컫는 의존명사 “가지”는 것, 벌, 치 등의 뜻을 갖는다. 그 가운데 “벌”은 옷이나 그릇 등을 말한다. 이두에서도 “발기”(벌기, 물건 이름이나 수량을 적은 목록)를 “件記”로 차자하여 왔다. 그리고 “발(벌)”이 일상의 구

件里德(건리덕)[분재기(分財記) 2 페이지 / 두루마리]

바리덕, 발이덕. 밥그릇의 일종인 바리를 닮은 계집종 이름의 차자 표기이다. 件里同(바리동), 件里介(바리개) 등과 동궤의 노비명이다. 끝 음절의 “德”은 여성의 이름에 빈도 높게 관용하는 인명 접미사이다. (주 176, 211 참조)

伊川(이천)[인택가(仁宅歌) 4 페이지 / 전적]

송나라 정이천(程伊川), 즉 정이(程?)의 존칭이다.

伏虎形(복호형)[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3 페이지 / 전적]

대략 무관(武官), 부귀겸전(富貴兼全)의 인물이 배출될 지형(地形)

伯夷叔齊(백이숙제)[김진사최유가라(金進士催遊歌라) 3 페이지 / 전적]

은나라의 충신 백이와 숙제를 아울러 이르는 말.

侍衛(시위)[김진사최유가라(金進士催遊歌라) 2 페이지 / 전적]

임금이나 우두머리를 모시어 호위함.

信福(신복)[분재기(分財記) 1 페이지 / 두루마리]

미덥고 복스럽다는 데서, 또는 그러한 사람이 되기를 바라는 소망에서 음차한 계집 이름이다. 인륜으로 강조하는 오상(五常) 중의 하나인 “信”을 취하고, “福”은 인명접미사에 관용하는 차자이기는 하지만, 좋은 운명을 바라는 길명 의식에서 지은 노비명이다. (주 33, 62 참조)

信陵君(신릉군)[김진사최유가라(金進士催遊歌라) 4 페이지 / 전적]

중국 전국시대 위(魏)나라의 정치가로 문하에 식객 3천 명을 거느렸다고 함.제나라의 맹상군, 초나라의 춘신군, 조(趙)나라의 평창군(平昌君)과 함께 전국(戰國) 말기의 사군(四君)으로 꼽힘.

億卜(억복)[분재기(分財記) 1 페이지 / 두루마리]

억배기, 얽빼기. 앞에 든 노비명, “億福”과 같은 계열의 사내종의 이름이다. “卜”과 “福”은 동음이자(同音異字)로서 종 이름의 접미사에 높은 빈도로 차용된 표기이다. 貴福과 貴卜, 大福과 大卜, 德福과 德卜----등은 노비의 이름에 공용된 그 일부의 예이다. (주 21 참조)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