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해제본

秋風感別曲
UCI G001+KR08-4850000110830.D0.V00004833
한글명 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자료형태 두루마리
분류코드 어문학_한국시 취득일 2011-03-30
작자 미상 현소장처 한국가사문학관
제작시기 전소장자 이현조
규격 385*18.5cm 해재자 김준옥
/ 13
가로형 원문세로형 원문
인정이 변화함은 측양야 이른것가
연이 눈을드러 <원근을 바라보니>
용산 느진경은 창울함이 심갓고
마탄 너른물은 탁양함이 회포갓다
보통문 송객정은 이별앗겨 서러마라
세상이별 남여중에 날갓트니 또잇난가
슈례문의 보난빛난 하난는 어대냐
만단슐 시른후의 철이약수 건너가서
우리님 계신곳 수이수이 풀고지고
셩우의 느진경은 견대여 못보리라
금탄 단우로 의관을 지여드러
바람결 우난 즘생 문노니 어대절고

현 대 문초 록
인정이 변화함은 측량하여 말하는 것인가.
애련(哀憐)히 눈을 들어 <원근(遠近)을 바라보니>
용산(龍山)51에 늦은 경치는 창울(悵鬱)52함이 심사(心思) 같고,
마탄(馬灘)53의 넓은 물은 탕양(蕩(樣)54함이 회포(懷抱) 같다.
보통문(普通門) 송객정(送客亭)55은 이별 아까워 서러워마라.
<초패왕의 장한 뜻도 죽기로 이별이 서러워
옥장(玉帳) 비가(悲歌) 높이 불러 눈물을 지었으나
오강(烏江) 풍우(風雨) 이별에도 울었단 말은 못 들었네.
천지는 몇몇 해며 이별은 누구누구? >56
세상 이별 남여 중에 날 같은 이 또 있는가.
수로문(水路門)에 보이는 배는 행하는 곳 어디냐?
만단(萬端) 술회(述懷) 실은 후의 천 리 약수(弱水)57 건너가서
우리 님 계신 곳에 수이수이58 풀고지고59
성(城) 위에 늦은 경(景)은 견디고는 못 보리라.
금란(金襴)60 단우(丹愚)61로 의관(衣冠)을 지여들이고 <싶구나>.
바람결에 우는 종경(鐘磬)62 묻노니 어디 절인고?

어휘 풀이

51)용산(龍山) : 평양 대성산. 용산만취(龍山晩翠)는 평양(平壤) 팔경(八景)의 하나.

52)창울(悵鬱) : 몹시 서운하고 울적하다.

53)마탄(馬灘) : 대동강 여울. 마탄춘장(馬灘春張)은 평양 팔경의 하나.

54)탕양(蕩(樣) : 물결이 넘실거리며 움직임.

55)송객정(送客亭) : 대동강 지류. 보통송객(普通送客)은 평양 팔경의 하나.

56)<> : 원문에 빠진 부분. 김기동 · 전규태 편,

57)약수(弱水) : 신선이 살았다는 중국 서쪽의 전설 속의 강.

58)수이수이 : 쉽게쉽게

59)풀고지고 : 풀고 또 풀고

60)금란(金襴) : 비단(緋緞)의 한 가지. 황금 실을 섞어 호화찬란하게 짜고 명주실로 봉황이나 꽃무늬를 냄.

61)단우(丹愚) : 자신의 성의(誠意)를 겸손하게 이르는 말.

62)종경(鐘磬) : 종과 경소리.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공공누리 제4유형 마크: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