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해제본

退溪先生登樓歌
UCI G001+KR08-4850000090807.D0.V00000576
한글명 퇴계선생등루가(退溪先生登樓歌) 자료형태 전적
분류코드 어문학_한국시 취득일 2008-12-01
작자 미상 현소장처 한국가사문학관
제작시기 전소장자 이현조
규격 17.5*24.3cm 해재자 전남대한국어문학연구소
/ 4
가로형 원문세로형 원문
萬古天下 名勝地에 이집밧게 또잇난가
三八木이 東門이요 四九金이 西門이요
二七火가 南門이요 一六水가 北門이라
仁門을 크게열고 義路를 닥가내니
오난손임 뉘실난가 智禮之士 이로다
風乎舞雩 咏歸人은 堂上에 안자있고
困於陋巷 簟瓢士난 室中에 뫼서쓰며
冉牛仲弓 閔子蹇과 子夏子張 子貢等은
門前에 뫼서쓰니 三千弟子 이안이냐
어와세상 사람드라 이집구경 가자서라
가다가 저물거든 晦菴宅에 드러자고
明道께 길을무러 伊川에 배를타고
濂溪로 홀너저어 光風霽月 발근곳에
空中樓閣 구경하니 瑞日祥雲 조흘시고
亞聖公述 聖公宅이 分明코나 杏墻을
바래보니 宮墻 数仞이라
仰之彌高 어이하리不遠千里 逰覽客아
니집구경 못하오면 功虧一簣 可惜이라P
현 대 문초 록
만고의 천하 명승지에 이 집밖에 또 있는가.
3.8의 목(木)은 동쪽31 문이요, 4.9의 금(金)은 서쪽 문이요,
2.7의 화(火)는 남쪽 문이요, 1.6의 수(水)는 북쪽 문이라.
동쪽으로 인문(仁門)32을 크게 열고 서쪽으로 의로(義路)33를 닦아내니,
오는 손임 누가 싫을 건가, 예(禮)를 아는 선비뿐이로다.
자연 풍류를 즐겨 무우(舞雩)34에서 놀고,
시 읊으며 돌아온 사람 당(堂) 위에 앉아있고,
누항(陋巷)35에서 시달리며 단표(簞瓢)36로 지내는 선비 방안에 모셨으며,
염우(冉牛)37, 중궁(仲弓)38, 민자건(閔子蹇)39
자하(子夏)40, 자장(子張)41, 자공(子貢)42 등은
문 앞에 모셨으니 삼천제자(三千弟子)43가 이 아니냐.
어와 세상 사람들아 이 집 구경 가자구나.
가다가 저물거든 회암(晦菴)44의 댁에 들려 자고,
명도(明道)45께 길을 물어 이천(伊川)46에 배를 타고,
염계(濂溪)47로 흘러 저어
광풍제월(光風霽月)48 밝은 곳에 공중에 떠있는 높은 누각 구경하니,
상서로운 해와 구름 좋기도 좋을시고.
아성공(亞聖公)49과 술성공(述聖公)50의 댁이 분명하다.
살구나무 담장51을 바라보니 궁성(宮城) 성벽이 몇 길이라.
공자의 덕(德) 앙지미고(仰之彌高)52하니 어이 하리.
천리를 멀다 않고 오신 유람객아, 이 집 구경 못 하오면
공휴일책(功虧一簣)53 아쉽구나

어휘 풀이

31)3.8의 목(木)은 동쪽 : 본 어구를 비롯하여 본 가사의 사설에 나오는 ‘4.9의 금(金)은 서쪽’, ‘2.7의 화(火)는 남쪽’, ‘1.6의 수(水)는 북쪽’ 등의 어구

32)인문(仁門) : 오행(五行)을 바탕으로 한 오상(五常)의 방위는 동에 인(仁)이요, 서에 의(義), 남에 예(禮), 북에 지(智), 중에 신(信)이라는 데서, 동문(東門)을 또 인(仁) 상징의 인문이라 하고, 서로(西路)를 의(義) 상징의 의로라 한 것임.

33)의로(義路) : 오행(五行)을 바탕으로 한 오상(五常)의 방위는 동에 인(仁)이요, 서에 의(義), 남에 예(禮), 북에 지(智), 중에 신(信)이라는 데서, 동문(東門)을 또 인(仁) 상징의 인문이라 하고, 서로(西路)를 의(義) 상징의 의로라 한 것임.

34)무우(舞雩) : 기우제(祈雨祭)를 지낼 때 춤추는 곳. 또는 비 오기를 비는 제단.

35)누항(陋巷) : 좁고 지저분한 거리

36)단표(簞瓢) : 단사표음(簞食瓢飮)의 준말. 도시락의 밥과 표주박의 물이라는 뜻으로, 청빈하고 소박한 생활의 비유.

37)염우(冉牛) : 공문 십철(孔門十哲)에는 염유(冉有), 또는 염백우(冉伯牛)가 있는데 이는 그중 한 사람의 오기로 판단된다.

38)중궁(仲弓) : 중국 춘추시대 노(魯)나라의 유학자인 염옹(冉雍)의 자임. 공자의 제자로서 덕행에 뛰어나고 예를 강조한 위인으로 알려졌음.

39)민자건(閔子蹇) : 공자의 제자인 민손(閔損). 그의 자는 자건(子蹇). 중국 노나라 때의 현인(賢人)으로 알려짐.

40)자하(子夏) : 중국 전국시대의 학자. 공자의 제자로서 위(魏)나라 문후(文侯)의 스승이요, 본명은 복상(卜商).

41)자장(子張) : 공자의 제자로서, 중국 춘추시대 진(陳)나라 사람인 전손사(顓孫師)의 자.

42)자공(子貢) : 중국 춘추시대 위(衛)나라의 학자요, 웅변가. 공자의 제자로서 성은 단목(端木), 이름은 사(賜).

43)삼천제자(三千弟子) : 제자의 수가 많음을 이름. 공자의 문인이 3천명이었다는 데서 나온 말임.

44)회암(晦菴) : 중국 송(宋)나라 때 철학을 집대성한 유학자 주희(朱熹)의 호.

45)명도(明道) : 중국 북송(北宋)의 유학자 정호(程顥)의 호.

46)이천(伊川) : 중국 북송(北宋)의 유학자 정이(程頤)의 호. 성리학의 기초를 닦은 인물로 형인 정호와 함께 ‘이정자(二程子)’라 일컬음.

47)염계(濂溪) : 중국 북송(北宋)의 유학자 주돈이(周敦頤)의 호.

48)광풍 제월(光風霽月) : 비 온 뒤에 맑게 부는 바람과 밝은 달.

49)아성공(亞聖公) : ‘성인에 버금가는 이’라는 뜻으로, 대성 공자(大聖孔子)에 대하여 맹자(孟子) 또는 안연(顔淵)을 일컫는 말.

50)술성공(述聖公) : 중국 춘추시대 노(魯)나라 사람, 즉 유가의 비조로 모시는 대성인인 공구(孔丘, 孔子)를 일컫는 말. 한편 원사(元史)나 속문헌통고(續文獻通考)에는 원나라 문종(文宗)이 공자의 손자인 자사(子思)에게 내린 봉호(封號)로도 전함.

51)살구나무 담장 : ‘행장(杏墻)’을 이르는 말. 한편 이 가사의 원문에는 ‘杏墻’에 대한 독음을 ‘행단’이라 함을 보아, 이는 ‘杏壇’의 오기로도 추측되어, 공자가 제자를 가르쳤던 곳, 학문을 닦는 곳으로도 생각해 볼 수 있다.

52)앙지미고(仰之彌高) : 우러러보면 볼수록 높음. 공자의 덕이 끝없이 높고 큼을 기려서 하는 말.

53)공휴일궤(功虧一簣) : 한 삼태기만 쌓으면 다 될 것을 그만 둔다는 뜻으로, 거의 성취한 일을 중지하여 오랜 공로가 아무 보람 없이 됨.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공공누리 제4유형 마크: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