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해제본

쳑사희승부가
UCI G001+KR08-4850000110917.D0.V00005020
한글명 쳑사대희승부가(쳑사희승부가) 자료형태 두루마리
분류코드 어문학_한국시 취득일 2010-04-01
작자 미상 현소장처 한국가사문학관
제작시기 전소장자 이현조
규격 375*23cm 해재자 박준규
/ 9
가로형 원문세로형 원문
님 이긴일은 쾌기 층양업
이러 셩회즁의 식물인들 부족랴
명의 돈일원식 츌임야 소마리
마리 피노코 풍족기 포식며
친부모님 슬젼의셔 풍졍조키 노든우리
엇지타가 여로셔 시편 쳣문
관관져구 ∝∝∝∝
∝∝∝∝ 조흔 군호귀 되얏시니
원부모 원형졔 고법의 이라
지우귀 면손가 이러키 조흔명졀
광음을 슈업셔 훌훌이 유슈되야
동원도리 편시츈도 츈몽즁의 원송고
츄을 촉면 연니 여유
예필종부 인몸이 각쳐로 흣치리라
어와우리 형졔드라 조코조흔 구담강
겨련이 이별고 부모동기 칠젹의
셥셥기도 그지업셔 여된 무궁다
츈풍의 낙화갓치 츄풍의 낙엽갓치
각쳐로 흣터지면 명츈졍월 봉가
어이일졍 기필리
만기회 아득면 그리워 엇지랴
네올젹의 못오고 올젹의 네못올듯
어와우리 붕우드라 풍졍이 조컨만은

현 대 문초 록
따님네 이긴 일은 상쾌하기 측량(測量)없네.134)
이러한 성회(盛會)135) 중에 식물인들 부족하랴
매명(每名)마다136) 돈 일원씩 출임(出賃)하여137) 소 한 마리,
개 한 마리 잡아놓고 풍족(豊足)하게 포식(飽食)하며,138)
친부모님 슬전(膝前)에서139) 풍정(風情)140) 좋게 노든 우리,
어쩌다가 여자로서 삼백 시편(三百詩篇)141) 첫 대문에
관관저구(關關雎鳩)142) ∝∝ ∝∝
∝∝ ∝∝143) 좋은 데에 군자호구(君子好逑)144) 되었으니,
원부모 원형제(願父母 願兄弟)는145) 고법(古法)의146) 상사(常事)라.147)
지자우귀(之子于歸)148) 면할쏜가, 이렇게 좋은 명절(名節)
광음(光陰)을149) 매어놓을 수 없어 훌훌히 유수(流水)되어150)
동원도리 편시춘(東園桃李片時春)도151) 춘몽(春夢)152) 중에 원송(遠送)하고,
추래(秋來)를153) 재촉하면 자연히 여자유행(女子有行)하여154)
예필종부(女必從夫)155) 매인 몸이 각처로 흩어지리라.
어와 우리 형제들아 좋고도 좋은 구담 강산(九潭江山)156)
결연(缺然)히157) 이별(離別)하고 부모 동기(父母同氣)158) 떨칠 적에
섭섭하기도 그지없어 여자가 된 한(恨) 무궁(無窮)하다.
춘풍(春風)에 낙화(落花) 같이 추풍(秋風)에 낙엽(落葉) 같이
각처(各處)로 흩어지면 명춘(明春) 정월(正月) 상봉(相逢)할까.
어이 일정(一定)하게 기필(期必)하리.159)
만날 기회 아득하면 그리워서 어찌하랴.
네 올 적에 내 못 오고 내 올 적에 네 못 올 듯,
어와 우리 붕우(朋友)들아160) 풍정(風情)이야 좋건만,

어휘 풀이

134)측량(測量)없다 : 헤아릴 수 없다.

135)성회(盛會) : 성대한 모임.

136)매명(每名) : 매인(每人). 한 사람마다.

137)출임(出賃) : 대출(貸出). 빌려 주는 것.

138)포식(飽食) : 배불리 먹는 것.

139)슬전(膝前) : 무릎 앞이라는 뜻으로, 거느리는 곁이나 품안. 주로 부모의 보호 영역을 이름. 슬하(膝下).

140)풍정(風情) : 풍회風懷. 풍치가 있는 정회.

141)삼백 시편(三百詩篇) : 중국 최고(最古)의 시집으로 전하는『시경(詩經)』에는 시 305편이 전하는바 이를 가리켜 이르는 말임.시경(詩經) : 중국 서주(西周) 때부터 춘추시대에 이르는 가요 305편을 풍(風)․아(雅)․송(頌)의 세부 분으로 나누어 수록한 책. 공자가 편찬하였다고 전해오는 시집. 오경(五經)의 하나로 일컫 는중국 최고(最古)의 고전임.

142)관관저구(關關雎鳩) : 부드러운 소리로 울며 화답하는 징경이.관관(關關) : 새가 화창하게 우는 소리의 형용.저구(雎鳩) : 물수리. 암수의 사이가 좋은 새로 일컬음.

143)∝∝∝∝ ∝∝ ∝∝ : 이는 가사의 원전에서 판독 불가한 곳의 표시인바,『시경(詩經)』의 출전을 좇아 이곳 본문의 원문을 들면 다음과 같다. “在河之洲 窈窕淑女”

144)군자호구(君子好逑) : 학식이 높고 행실이 어진 사람의 좋은 짝(배필配匹).

145)원부모 원형제(願父母 願兄弟) : 본인을 낳아 길러주시고 형통을 같이하는 부모형제에게 원하고바람.

146)고법(古法) : 옛날부터 전해오는 법이나 법칙.

147)상사(常事) : 예상사(例常事)의 준말. 보통 있는 일. 예삿일.

148)지자우귀(之子于歸) : 결혼한 그 자식은 결국 시집으로 간다는 뜻으로 이른 말.우귀(于歸) : 신행(新行). 전통 혼례에서, 신부가 혼례식을 마치고 신방을 치른 뒤 신랑을 따라 시집으로 가는 일.

149)광음(光陰) : 시간이나 세월을 이르는 말.

150)훌훌히 유수(流水)되어 : 광음여류(光陰如流)를 두고 이름.광음여류(光陰如流) : 세월은 흐르는 물과 같아 한번 가면 되돌아오지 않음.

151)동원도리(東園桃李) : 동쪽 정원에 핀 복숭아꽃이나 자두의 꽃.편시춘(片時春) : 잠시 지나가는 봄.

152)춘몽(春夢) : 봄꿈. 인생의 덧없음을 비유한 말.

153)추래(秋來) : 가을이 되는 것.

154)여자유행(女子有行) : 여자로서 행실을 갖추는 것.

155)예필종부(女必從夫) : 아내는 반드시 남편에게 순종하여 좇아야 함.

156)구담 강산(九潭江山) : 경상북도 안동군(安東郡) 풍천면(豊川面) 구담리(九潭里)를 말함. 낙동강 가에 위치하여 그곳의 위아래에 9소(沼)가 있으므로 구담(九潭)이라 이르게 되었다. 이곳의 고적으로 “담암김선생유허비(潭庵金先生遺墟碑)”가 유명하다. 이는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인 담암 김용석((潭庵金用石)이 무오사화(戊午士禍)를 겪은 후 이곳에 은거하여 후진교육을 하였는데 그 인물을 기린 비이다.

157)결연(缺然)하다. : 모자라 서운하다.

158)부모 동기(父母同氣) : 아버지와 어머니 및 형제자매의 총칭.

159)기필(期必) : 꼭 이루어지기를 원하는 것.

160)붕우(朋友) : 벗.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공공누리 제4유형 마크: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