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太平殿[용화출세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단군, 역대 왕조의 창업주들의 위패를 봉안한 곳.

太極(태극)[선도가 3 페이지 / 전적]

우주(宇宙) 만물(萬物)이 생긴 근원(根源)이라고 보는 본체(本體).하늘과 땅이 아직 나뉘기 전의 세상(世上) 만물(萬物)의 원시(元始)의 상태(狀態).역학(易學)에서 시작(始作)하여 송(宋)나라 때에 대성(大成)한 철학(哲學) 사상(思想)임.

太極(태극)[유도가 1 페이지 / 전적]

우주(宇宙) 만물(萬物)이 생긴 근원(根源)이라고 보는 본체(本體).하늘과 땅이 아직 나뉘기 전의 세상(世上) 만물(萬物)의 원시(元始)의 상태(狀態).역학(易學)에서 시작(始作)하여 송(宋)나라 때에 대성(大成)한 철학(哲學) 사상(思想)임.

太極(태극)[천지가 1 페이지 / 전적]

우주(宇宙) 만물(萬物)이 생긴 근원(根源)이라고 보는 본체(本體).하늘과 땅이 아직 나뉘기 전의 세상(世上) 만물(萬物)의 원시(元始)의 상태(狀態).역학(易學)에서 시작(始作)하여 송(宋)나라 때에 대성(大成)한 철학(哲學) 사상(思想)임.

太極陰陽 初判후에[친목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태극의 기운이 음과 양으로 처음 나뉜 후에. 세상이 생긴 태초에.

太白山 主嶺[친목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백산의 가장 알찬 기운.

奇連代(기련대)[분재기(分財記) 3 페이지 / 두루마리]

기년. 약빠르고 재주 많은 여아를 홀하게 이른 데서 나온 호칭이다. 이는 “奇連”과 “奇代”를 동시에 예시하면서, 3자 표기가 되어버렸지 않으면, “奇連”에 여성 이름의 접미사로 관용하는 “代”를 첨가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 “連”은 의존명사 “년”(계집을 낮추거나 멸시하여 이르는 말)의 음차 표기이다. 노비명에 쓰인 차자 표기 중 女, 年, 延 등이 “連”과 함께 흔히 “년”의 차용자로 표기됨을 미루어 이는 의심되지 않는다. 남아를 이르는 “奇童”(기

奉化(봉화)[분재기(分財記) 2 페이지 / 두루마리]

노비의 출생지가 “奉化”이기 때문에 호칭된 이름인 듯하다. 혹은 포구락(抛毬樂)이나 보상무(寶相舞) 등의 궁중무(宮中舞)에서 꽃을 담아주는 일을 하는 봉화(奉花)를 전제한 나머지, 주인을 잘 모시는 여비(女婢)의 호칭을 차자한 작명으로도 생각할 수 있다. 이때의 ”化“는 표음이 같은 ”花“의 의음차로서 보다 쓰기 쉬운 한자로 대치한 표기의 이체형(異體形)이 되는 셈이다.

奉化(봉화)[분재기(分財記) 3 페이지 / 두루마리]

(주 238 참조)

奉祀(봉사)[분재기(分財記) 1 페이지 / 두루마리]

조상의 제사를 받들어 모시는 것.

如來尊佛[용화출세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석가모니불. 불교.

如此則禍(여차즉화) 不及身(불급신)[김진사최유가라(金進士催遊歌라) 6 페이지 / 전적]

이와같이 하면 화는 곧 내게 미치지 않으리라.

姑蘇臺(고소대)[정종대왕권학가(正宗大王勸學歌) 13 페이지 / 전적]

고소산(姑蘇山) 위에 있는 대. 오왕(吳王) 부차(夫差)가 월(越)나라를 친 다음, 미인 서시(西施)를 얻고 그녀를 위하여 쌓은 대.

姑蘇臺(고소대)[인택가(仁宅歌) 2 페이지 / 전적]

고소산(姑蘇山) 위에 있는 대. 오왕(吳王) 부차(夫差)가 월(越)나라를 친 다음, 미인 서시(西施)를 얻고 그녀를 위하여 쌓은 대.

姜太公(강태공)[김진사최유가라(金進士催遊歌라) 3 페이지 / 전적]

중국 주(周)나라 초기의 정치가로 무왕을 도와 은나라를 멸하고 천하를 평정하였음.

姜孫(강손)[분재기(分財記) 3 페이지 / 두루마리]

강손이. 몸이 튼튼하고 성격도 강한 종을 두고 이른 호칭이다. 한자 “姜”(강할 강)과 “强”(강할 강)은 동의 동음자(同義同音字)로서, 앞에 든 姜金伊, 姜豊 등의 차자에서 보는 “姜”과 같은 뜻의 차자이다. 아울러 “孫”은 상대방을 낮추어 이를 때에 쓰는 접미사 “〜손”의 차자이다. (주 14, 122, 123 참조)

姜豊(강풍)[분재기(分財記) 1 페이지 / 두루마리]

든든하고 풍족하게 보이는 종을 호칭한 사내종 이름의 차자 표기이다. 노비의 이름에 차자된 한자 姜(강할 강)과 豊(풍족할 풍)에 대한 의미와 작명에서의 그 활용은 앞에 든 “姜金伊”와 “豊非” 등의 인명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주 18, 122 참조)

姜豊(강풍)[분재기(分財記) 2 페이지 / 두루마리]

(주 123 참조)

姜金伊(강금이)[분재기(分財記) 1 페이지 / 두루마리]

강쇠. 강한 쇠처럼 건강하여 오래 살기를 바라는 뜻에서, 또는 든든한 사람을 일러 명명한 사내종의 이름이다. 즉 강철을 말하는 “鋼쇠”의 이체표기이다. 혹시 두음절의 “姜”은 사람의 성씨와도 연결시킬 수 있으나, 종의 이름이므로 그렇게 속단할 수는 없고, 이는 주로 강(强)하다는 뜻으로 쓰인 한자인 바, 여기서는 그 훈차 표기이다. 종의 인명 중에서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 한자 “强”과 “鋼”의 차용은 거의 발견되지 않고, 음차로서 “强牙致”가 있을 뿐이

姜金伊(강금이)[분재기(分財記) 2 페이지 / 두루마리]

강쇠. (주 122 참조)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