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四顧(사고)에 無人(무인)이라[십보가(十步歌) 3 페이지 / 전적]
사방을 돌아보아도 도와줄 사람 하나 없다.
圓枕不寐(원침불매)[정종대왕권학가(正宗大王勸學歌) 8 페이지 / 전적]
원목경침(圓木警枕). 둥근 나무로 베개를 만들어 베고 잠을 자면 조금만 기울어도 잠이 깨게 되어 공부를 한다는 뜻으로, 힘써 노력하여 공부함을 비유한 말. 사마온공(司馬溫公)이 원목(圓木)으로 베개를 만들어 자면서 공부를 했다고 전한다.
圡厚(토후)[죽장가(竹杖歌) 10 페이지 / 전적]
땅이 기름짐.
在世玉體[용화출세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증산의 묘는 다시 찾아 이장하고, 부인 정씨의 산소는 태인의 공동묘지에서 함께 오리알터로 이장함.
地下度數[용화출세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땅굴에서 기도를 통하여 하늘과 땅의 운행과 진로를 바로잡는 것.
坐處(좌처)[선도가 3 페이지 / 전적]
①앉을 자리 ②집이나 방 따위가 자리잡고 있는 곳.
坐處(좌처)[유도가 1 페이지 / 전적]
①앉을 자리 ②집이나 방 따위가 자리잡고 있는 곳.
坐處(좌처)[천지가 1 페이지 / 전적]
①앉을 자리 ②집이나 방 따위가 자리잡고 있는 곳.
堂上(당상)여 承旨參議(승지참의)[정종대왕권학가(正宗大王勸學歌) 9 페이지 / 전적]
당상관이 되어서는 승지와 참의를 지냈다. 당상관(堂上官)은 조선시대 정3품인 통정대부, 명선대부, 봉순대부, 절출장군 이상의 벼슬을 말한다. 승지는 승정원에 딸려 왕명을 출납을 맡았던 정3품의 벼슬, 참의는 육조(六曹)에 딸린 정3품의 벼슬을 말한다.
堂錄(당록)야 校理修撰(교리수찬)[정종대왕권학가(正宗大王勸學歌) 9 페이지 / 전적]
당록에 올라 교리 수찬을 지냈다. 교리는 홍문관의 정5품 벼슬, 수찬은 홍문관의 정6품 벼슬이다. 당록(堂錄)은 도당록(都堂錄)의 준말로 홍문관에서 교리 이하의 벼슬을 임명할 때, 부제학 등의 관원이 먼저 그 대상자를 선정하여 기록한 문서를 말한다.
堯舜禹湯(요순우탕)[김진사최유가라(金進士催遊歌라) 2 페이지 / 전적]
태평시절의 임금.
堯風(요풍)[제오몽환가(第五夢幻歌) 5 페이지 / 전적]
요(堯) 임금의 덕풍(德風).
場門(장문)[분재기(分財記) 4 페이지 / 두루마리]
초선 초기에 발달하기 시작한 상설 시장. 군역(軍役)이나 조세(租稅) 등을 피하여 도망한 농민들이 모여 이룬 것으로, 국가의 금압(禁壓)을 받았다.
壁江(벽강)[규중여자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반벽강산(半壁江山)의 준말.
壬午年[용화출세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1942년에 고향이나 시골로 간 것. 의성 금성곡으로 이주한 것.
壬辰(1952)년[용화출세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1952년 10월 10일 영대 상량식을 거행함 靈臺 : 강증산 부부의 무덤이 영대임. 성령이 내왕하는 곳. 원래는 주나라 문왕이 세웠다는 망대(望臺)의 이름임.
壯壯한 越老松은[친목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우람하여 굳세고 힘차게 높게 솟은 소나무의 모습.
壼中[송강집(松江集二)2 83 페이지 / 전적]
도가(道家)의 용어임. 신선 장신(張申)이 항상 병 하나를 허리에 달고 다니는데 천지(天地)로 화해서 그 가운데 해와 달이 있고 밤이면 그 안에서 잤다 하였음.
壽富貴多男[친목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오래 살고 재산 많고 벼슬이 높아지고 자식이 많은 복.
壽富貴多男[친목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오래 살고 넉넉하고 출세하며 자식이 번성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