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정치[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78 페이지 / 전적]

「烹鮮」―나라를 다스림을 비유한 말임. 老子道德經에「治大國若烹小鮮」이란 대문이 있고 그 註에 「흔들지 않음을 이름이다」하였음.

정치[신행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안정하지.

정침(正寢)[효행가(孝行歌) 6 페이지 / 전적]

제사를 지내는 몸채의 방.

정케[소동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바르게.

정케[모여상사가라(모여사가라) 11 페이지 / 전적]

단정하게.

정코[나웅하상토굴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정하고.

정키하고[경게가라 16 페이지 / 전적]

바르게 하고.

정키하고[경게가라 16 페이지 / 전적]

바르게 하고.

정키하마[소동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정(淨)케함이. 정케해라. 깨끗이 해라.

정키하며[황젼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깨끗하게 하며.

정태(靜態)[개화별곡이라 7 페이지 / 전적]

움직이지 아니하고 가만히 있는 상태.

정토 발원(淨土發願)[권왕가 56 페이지 / 전적]

앞에 든 각주 252 참조.

정토 법문(淨土法門)[권왕가 24 페이지 / 전적]

아주 깨끗한 정토의 법문(法門). 정토(淨土) : 앞에 든 각주 244 참조. 법문(法門) : 중생이 불법으로 들어가는 문.

정토 법문(淨土法門)[권왕가 37 페이지 / 전적]

정토의 불법으로 들어가는 법문. 정토(淨土) :앞에 든 각주 244 참조. 법문(法門) : 앞에 든 각주 294 참조. 심신(深信) : 깊이 믿는 것.

정토 법문(淨土法門)[권왕가 55 페이지 / 전적]

극락 정토로 가는 법문. 법문(法門) : 중생이 불법으로 들어가는 문.

정토 법문(淨土法門)[권왕가 56 페이지 / 전적]

정토문(淨土門). 앞에 든 각주 658 참조. 폄담(貶談) : 폄론(貶論). 깎아내려 헐뜯는 것. 또는 그런 말.

정토 왕생(淨土往生)[권왕가 16 페이지 / 전적]

극락왕생(極樂往生). 왕생극락(往生極樂). 죽어서 극락세계에 다시 태어남.

정토(征討)[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0 페이지 / 전적]

정벌.

정토(淨土)[권왕가 25 페이지 / 전적]

앞에 든 각주 244 참조. 수행(修行) : 앞에 든 각주 101 참조.

정토(淨土)[권왕가 52 페이지 / 전적]

앞에 든 각주 244 참조 미타경(彌陀經) : 불설 아미타경(佛說阿彌陀經)의 약칭. 중국 후진(後秦)의 구마라습(鳩摩羅什)이 한역한 경전. 아미타의 공적과 극락세계의 일, 또는 그 곳에 태어나기 위하여 중생이 갖추어야 할 바를 기록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