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정지[화초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부엌의 방언.
정지[신힁가라 8 페이지 / 전적]
‘부엌(일정한 시설을 갖추어 놓고 음식을 만들고 설거지를 하는 등 식사에 관련된 일을 하는 곳)’의 방언(강원, 경상, 전라, 충북).
정지[청춘사연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부엌.
정지[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0 페이지 / 전적]
나주 고려 후기 왜구 퇴치에 공을 세운 무신이다. 1374년(공민왕 23) 유원정의 추천으로 중낭장으로 전라도안무사로 발탁되어 왜인추포만호를 겸하면서 왜구 퇴치책을 건의하고 백성들의 부담 완화와 전략의 효율화에 노력하였다.
정지[팔역가(八域歌) 39 페이지 / 전적]
고려 무장
정지(情地)[츄억감 9 페이지 / 두루마리]
딱한 처지에 있는 가엾은 처지.
정지(情地)[츄억감 11 페이지 / 두루마리]
딱한 사정에 있는 가엾은 처지.
정지(情地)[추월감 8 페이지 / 두루마리]
딱한 사정에 있는 처지.
정지(情地)[아림가(娥林歌) 27 페이지 / 전적]
딱한 사정에 있는 처지.
정지(淨地)[천지지분이라(천디디분이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맑고 깨끗한 곳. 집에서는 부엌을 일컬음.
정지간[신힁가라 14 페이지 / 전적]
부엌칸.
정지문[여자행신가 13 페이지 / 전적]
‘부엌’의 방언(강원, 경상, 전라, 충북). ‘정주(鼎廚)’의 방언(강원).
정지문[여자행신가 13 페이지 / 전적]
‘부엌’의 방언(강원, 경상, 전라, 충북). ‘정주(鼎廚)’의 방언(강원).
정지상(鄭知常)[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4 페이지 / 전적]
고려 인종 때의 문신이자 시인(?~1135)으로 초명은 지원(之元), 호는 남호(南湖)이다. 묘청의 난에 연루되어 김부식에게 피살되었다. 시에 뛰어난 고려 12시인 중의 한 사람으로 꼽혔으며, 역학과 노장 철학에도 조예가 깊었다. 저서에
정지칸[모여상사가라(모여사가라) 12 페이지 / 전적]
부엌칸.
정진(正眞), 도완(道完)[권왕가 57 페이지 / 전적]
왕생전(往生傳)』에 나오는 인물들임. (임기중 편저『한국가사문학주해연구』② 462쪽, 2005년 참조.)
정진(精進)[권왕가 21 페이지 / 전적]
① 일심으로 불도를 닦아 게을리 하지 않는 것. ② 세속의 인연을 끊고 재계하고 채식을 하면서 불도에 몸을 바치는 것. 수행(修行) : 앞에 든 각주 101 참조.
정진(精進)[자책가(가) 23 페이지 / 전적]
① 일심으로 불도를 닦아 게을리 하지 않는 것. ② 세속의 인연을 끊고 재계하고 채식을 하면서 불도에 몸을 바치는 것.
정질(庭叱)[대명복수가(명복수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뜰에서 꾸짖음.
정질(庭叱)[대명복수가(명복수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뜰에서 꾸짖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