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정위(丁謂)[송강집(松江集五)5 6 페이지 / 전적]
송(宋)나라 진종(眞宗)때 사람이다. 그 잘못을 충고하여 준 당시 재상(宰相) 구준(寇準)을 모해하여 찬축(竄逐)하고 말았다. 史畧에 嘗會食朝堂羹拂寇鬚謂起拂之 準正色曰 身爲執政而 亦爲宰相拂鬚耶 謂慙讒之」
정위(定位)[회혼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몸의 위치나 자세를 일정하게 가짐. 또는 그 위치나 자세.
정위(精衛)[송강집(松江集二)2 53 페이지 / 전적]
새 이름인데 이 새가 목석(木石)을 물어다가 동해를 메웠다는 전설이 있음.
정위(精衛)[면앙집(俛仰集 一)1 58 페이지 / 전적]
精衛=古代女人의 名이니 남편이 바다의 風浪에 죽자 女가 죽어 새가 되어 木石을 물어다가 바다에 던저 바다를 메우려 했다 함
정유(鄭裕,1443-1566)[석천집(石川集二-三)2-3 97 페이지 / 전적]
조선 세종,명종 때의 문신. 자는 공작(公綽). 대사간,대사헌,한성부우윤(漢城府右尹),황해도 관찰사 등을 지냈고 명종 9년(1554)에는 동지사(冬至使)로 명(明)나라에 다녀왔다.
정유년[팔역가(八域歌) 29 페이지 / 전적]
1597년 정유재란
정유년[팔역가(八域歌) 39 페이지 / 전적]
1597년
정유년[팔역가(八域歌) 46 페이지 / 전적]
1597년 정유재란
정유년(丁酉年)[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4 페이지 / 전적]
서기 1597년.
정유년(丁酉年)[한흥가라 99 페이지 / 전적]
정유재란(丁酉再亂)이 있었던 해인 1597년(선조 30).
정읍(井邑)[호남가(湖南歌) 4 페이지 / 전적]
전라북도의 남서부에 자리잡은 한 군으로 백제 때의 정촌현이었다. 신라 경덕왕 때 정읍현으로 고치고, 조선조에는 현감(縣監)을 두었다가 1895년 군이 되었다. 1914년 태인(泰仁), 고부(古阜) 두 군의 일부를 병합하여 정읍음군(井邑音郡)으로 개편되었다.
정읍(井邑)[호남가라 3 페이지 / 전적]
전라북도 남서부에 위치한 시로 전주와 광주의 중간지점에 자리잡고 있다.
정응태[팔역가(八域歌) 47 페이지 / 전적]
명나라의 군인으로 주사였는데 양호의 공을 빼앗아 가로채니 양호는 탄핵 호출되었다.
정의(情意)[통륜가(通倫歌) 9 페이지 / 전적]
감정과 의지.정과 뜻.
정의배[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53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의 가톨릭교 순교자(1794~1866). 세례명은 마르코. 기해박해 때에 순교자들의 태도에 감동하여 46세로 입교한 후에 가톨릭교 전교(傳敎)에 힘쓰다가 병인박해 때에 순교하였다.
정의아비[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19 페이지 / 전적]
허수아비의 옛말.
정이[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90 페이지 / 전적]
정 추만 지운 (鄭秋巒之雲)의 자이다.
정이(程頤, 1033~1107)[화전가1 6 페이지 / 전적]
호는 이천(伊川) 북송 중기의 유학자로 정주학(程朱學)의 창시자이다. 주자(朱子)에게 계승되어 집대성 되었다.
정이뜨네[황젼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정이 떨어지네.
정이하여[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8 페이지 / 전적]
깨끗이 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