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정인군자(正人君子)[헌수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마음씨가 올바르며 학식과 덕행이 높고 어진 사람.
정인군자(正人君子)[헌수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마음씨가 올바르며 학식과 덕행이 높고 어진 사람.
정인지(鄭麟趾)[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83 페이지 / 전적]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학자(1396~1478)로 자는 백저(伯雎), 호는 학역재(學易齋), 시호는 문성(文成)이다. 대제학, 영의정을 지냈다. 대통력(大統曆)과 역법(曆法)을 개정하였으며 많은 책을 편찬하고,
정인출가(淀人出嫁)[충효가(忠孝歌) 16 페이지 / 전적]
남편을 정하여 시집을 감. 정인출가(定人出嫁)의 오식으로 보임.
정인홍(鄭仁弘)[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26 페이지 / 전적]
정인홍(鄭仁弘, 1535~1623)
정인홍(鄭仁弘)[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21 페이지 / 전적]
조선 중기의 문신ㆍ학자(1535~1623). 자는 덕원(德遠). 호는 내암(萊庵). 임진왜란 때에 합천에서 의병을 모아 활약하여 영남 의병장의 호를 받았다. 대북(大北)의 영수(領袖)로 광해군 즉위 후에 영의정에 올랐다. 저서에 문집 ≪내암집≫이 있다.
정인홍(鄭仁弘)[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27 페이지 / 전적]
조선 중기의 문신ㆍ학자(1535~1623). 자는 덕원(德遠). 호는 내암(萊庵). 임진왜란 때에 합천에서 의병을 모아 활약하여 영남 의병장의 호를 받았다. 대북(大北)의 영수(領袖)로 광해군 즉위 후에 영의정에 올랐다. 저서에 문집 ≪내암집≫이 있다.
정인홍(鄭仁弘, 중종 30, 1535~인조 1, 1623)[문청공유사 사계수필(文淸公遺事 沙溪手筆) 25 페이지 / 전적]
자는 덕원(德遠), 호는 내암(內菴).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이산해, 이이첨과 함께 대북(大北)을 영솔했다. 선조 6년(1573) 학행으로 천거되어 황간현감, 지평, 장령, 대사헌, 공조참판,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 등을 지냈다.
정일(定日)[어와따님요(어와님요) 3 페이지 / 전적]
날짜를 정함.
정일(定日)[셔유곡 1 페이지 / 전적]
날짜를 정함. 또는 그 날짜.
정일(定日)[가사소리 24 페이지 / 전적]
날짜를 정함.
정일(精一)[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56 페이지 / 전적]
마음이 상세하고 한결같음.
정일(精一)[송강집(松江集三)3 127 페이지 / 전적]
유정유일(惟精惟一)을 이름.
정일(精一)[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4 페이지 / 전적]
書經 大禹謨에「人心惟危 道心惟微 惟精惟一 允執厥中」이라는 대문에서 따온 말임.
정일심법(精一心法)[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11 페이지 / 전적]
고르고 한결같은 마음의 법.
정일심법(精一心法)[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11 페이지 / 전적]
고르고 한결같은 마음의 법.
정일집중(精一執中)[셔운가 2 페이지 / 전적]
정일(精一)은 모든 경락을 정(精)으로 채운다함이요.집중(執中)은 마음의 중심을 잡는다함이다.
정일집중(精一執中)[셔운가 2 페이지 / 전적]
정일(精一)은 모든 경락을 정(精)으로 채운다함이요.집중(執中)은 마음의 중심을 잡는다함이다.
정일집중(精一執中)[셔운가 2 페이지 / 전적]
정일(精一)은 모든 경락을 정(精)으로 채운다함이요.집중(執中)은 마음의 중심을 잡는다함이다.
정일집중(精一執中)[셔운가 2 페이지 / 전적]
정일(精一)은 모든 경락을 정(精)으로 채운다함이요.집중(執中)은 마음의 중심을 잡는다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