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정제(整齊)[합강정가(合江亭歌) 3 페이지 / 전적]
① 정돈하여 가지런히 함. ② 격식에 맞게 차려입고 매무시를 바르게 함.
정제(整齊)[사군가(事君歌) 4 페이지 / 전적]
정돈(整頓)하여 가지런히 함. 정정 제제.
정제(精製)[경영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정성을 들여 정밀하게 잘 만듦.
정제의관(整齊衣冠)[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6 페이지 / 전적]
옷과 갓을 단정히 가다듬음.
정제의관(整齊衣冠)[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6 페이지 / 전적]
옷과 갓을 단정히 가다듬음.
정조(正朝) 미명시(未明時)[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4 페이지 / 전적]
원단(元旦). 설날 아침. 아침 날이 채 밝지 않은 때.
정조(正祖)[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45 페이지 / 전적]
조선 제22대 왕(1752~1800). 이름은 산(祘). 자는 형운(亨運). 호는 홍재(弘齋). 시호는 문성무열성인장효왕(文成武烈聖仁莊孝王). 탕평책을 써서 인재를 고루 등용하고, 실학을 크게 발전시켜 조선 후기 문화의 황금시대를 이룩하였다. 재위 기간은 1776~1800년이다.
정조(鄭造)[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28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의 문신(1559~1623). 자는 시지(始之). 이이첨의 앞잡이가 되어 폐모론(廢母論)을 주장하였으며, 인조반정 후 사형되었다.
정조대왕(正祖大王)[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42 페이지 / 전적]
조선 제22대 왕(1752~1800). 탕평책을 써서 인재를 고루 등용하고, 실학을 크게 발전시켜 조선 후기 문화의 황금시대를 이룩하였음.
정종(定宗)[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59 페이지 / 전적]
조선 제2대 왕(1357~1419)으로 관제의 일부를 개혁하고, 사병(私兵)을 삼군부(三軍府)에 편입하였으며, 저폐(楮幣)를 발행하여 경제 유통의 진흥을 꾀하였음.
정종(定宗)[한흥가라 10 페이지 / 전적]
조선 제2대 왕(1357~1419). 초명은 방과(芳果). 이름은 경(曔). 자는 광원(光遠). 정종은 묘호. 관제의 일부를 개혁하고, 사병(私兵)을 삼군부(三軍府)에 편입하였으며, 저폐(楮幣)를 발행하여 경제 유통의 진흥을 꾀하였다. 재위 기간은 1398~1400년이다.
정종(定宗)[한흥가라 10 페이지 / 전적]
조선 제2대 왕(1357~1419). 초명은 방과(芳果). 이름은 경(曔). 자는 광원(光遠). 정종은 묘호. 관제의 일부를 개혁하고, 사병(私兵)을 삼군부(三軍府)에 편입하였으며, 저폐(楮幣)를 발행하여 경제 유통의 진흥을 꾀하였다. 재위 기간은 1398~1400년이다.
정종(定宗)[한흥가라 10 페이지 / 전적]
조선 제2대 왕(1357~1419). 초명은 방과(芳果). 이름은 경(曔). 자는 광원(光遠). 정종은 묘호. 관제의 일부를 개혁하고, 사병(私兵)을 삼군부(三軍府)에 편입하였으며, 저폐(楮幣)를 발행하여 경제 유통의 진흥을 꾀하였다. 재위 기간은 1398~1400년이다.
정종(定宗)[한양가라 9 페이지 / 전적]
조선 제2대 왕으로 관제 일부를 개혁하고, 사병(私兵)을 삼군부(三軍府)에 편입하는 등 저폐(楮幣)를 발행하여 경제 유통의 진흥을 꾀하였다.
정종(定宗)[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9 페이지 / 전적]
고려 제3대 왕(923~949)으로 이름은 요(堯), 자는 의천(義天)이다. 왕규(王規)의 난을 평정하고 불교를 숭상하였으며, 도참설을 좇아 서경으로 도읍을 옮기려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재위 기간은 946~949년이다.
정종(定宗)[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2 페이지 / 전적]
고려 제3대 왕(923~949)으로 이름은 요(堯), 자는 의천(義天)이다. 왕규(王規)의 난을 평정하고 불교를 숭상하였으며, 도참설을 좇아 서경으로 도읍을 옮기려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재위 기간은 946~949년이다.
정종(定宗)[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81 페이지 / 전적]
조선 제2대 왕(1357~1419)으로 초명은 방과(芳果), 이름은 경(曔), 자는 광원(光遠)이다. 정종은 묘호이다. 관제의 일부를 개혁하고, 사병(私兵)을 삼군부(三軍府)에 편입하였으며, 저폐(楮幣)를 발행하여 경제 유통의 진흥을 꾀하였다. 재위 기간은 1398~1400년이다.
정종(疔瘇)[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15 페이지 / 전적]
동통(疼痛)이 심하여 위험한 부스럼.
정종(鄭悰)[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86 페이지 / 전적]
조선 전기의 문신(?~1461)으로 문종의 딸 경혜(敬惠) 공주와 결혼하여 영양위(寧陽尉)가 되었으나, 중 성탄(性坦) 등과 모반을 꾀하였다고 하여 능지처참을 당하였다.
정좌(鼎坐)[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35 페이지 / 전적]
「鼎坐」-三人이 同席한 것을 이름 鼎의 발이 셋이므로 무릇 三者의 勢를 이룬 것은 다 鼎을 들어 비유하여 썼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