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정양(正陽)[석천집(石川集二-三)2-3 84 페이지 / 전적]

정양사(正陽寺). 금강산에 있는 절로, 백제 무왕 때에 관륵(觀勒)이 창건하고 통일신라 때에 원효대사(元曉大師)가 중건했다.

정양문(正陽門)[연행별곡(연별곡) 22 페이지 / 전적]

북경의 내성(內城)과 외성(外城) 사이에 정남(正南)으로 설치된 문.

정양사(正陽寺)[관동별곡 6 페이지 / 전적]

표훈사 북쪽에 있는 절 이름.

정양사(正陽寺)[금강산유람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강원도 회양군 내금강면 장연리 금강산 표훈사(表訓寺) 북쪽에 있는 절. 무왕 1년(600)에 백제의 고승 관륵(觀勒)과 강운(降雲)이 창건하였음.

정언(正言)[궁월가라 14 페이지 / 전적]

도리에 어긋나지 아니한 바른말을 함.

정언신(鄭彦信, 중종 22, 1527~선조 24, 1591)[문청공유사 사계수필(文淸公遺事 沙溪手筆) 45 페이지 / 전적]

자는 입부(立夫), 호는 나암(懶庵). 예조좌랑 진(振)의 아들이요, 정협(鄭恊), 정율(鄭慄)의 아버지이다. 명종 21년(1566)에 별시문과에 급제하여 검열 호조좌랑 전라도도사 우부승지 병조판서 우의정 등을 지냈다. 기축옥사에서 연루되어 유배지에서 죽었다.

정업(正業)[사친가(事親歌) 37 페이지 / 전적]

정당(正當)한 직업(職業)이나 생업(生業).

정업(正業)[자직가(子職歌) 2 페이지 / 전적]

정당(正當)한 직업(職業)이나 생업(生業).

정업(淨業)[권왕가 20 페이지 / 전적]

깨끗한 행위.

정여립(鄭汝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26 페이지 / 전적]

조선 중기의 역신(逆臣)(1546~1589). 자는 인백(仁伯). 수찬(修撰)을 지냈다. 정권을 잡으려는 야심으로 대동계(大同契)를 조직하고 참위설을 퍼뜨려 모반을 꾀하려다 탄로 나자 도주하여 자살하였다.

정여립(鄭汝立,1589)[문청공유사 사계수필(文淸公遺事 沙溪手筆) 8 페이지 / 전적]

자는 인백(仁伯), 첨정 희증(希曾)의 아들. 명종 22년(1567)에 진사가 되고 선조 3년(1570) 식년문과에 급제, 예조좌랑 수찬을 지냈다. 원래 이이(李珥) 성혼(成渾) 등의 총애를 받았으나 동인들과 친히 지내며 이들을 비판하다 왕이 불쾌하게 여기자 벼술을 그만두고 전주로 내려갔다. 그는 곧 대동계를 조직하여 모사(謀士)와 불평객의 세력을 규합하고 정감록(鄭鑑錄)의 참설을 이용해 민심을 선동하고 역모를 꾀했다. 선조 22년 이 사실이 누설되자 거사를 도모했으나 안악군수 이축(李軸)이 이 사실을 알고 고변해 관련자들이 차례로 잡히자 금구(金溝) 별장을 떠나 진안 죽도로 숨었다가 관군에 포위되자 자살했다.

정여창(鄭汝昌)[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3 페이지 / 전적]

조선 성종 때의 문신·학자(1450~1504)로 자는 백욱(伯勖), 호는 일두(一蠹), 시호는 문헌(文獻)이다. 성리학의 대가로 경사(經史)에 통달하였다. 무오사화에 관계되어 귀양 가서 죽었다. 정구(鄭逑)의

정열(貞烈)[해주졍씨목친가(주졍씨목친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여자의 정조(貞操)와 절개(節槪).

정열부인(貞烈夫人)[남산동이진사효행록(남동이진효횡녹) 12 페이지 / 전적]

정조와 지조를 굳게 지킨 부인에게 내리던 칭호.

정열소부(貞烈少婦)[오륜가라 45 페이지 / 전적]

정조(貞操)가 굳고 행실(行實)이 곧은 젊은 여자(女子).

정염(情炎)[한별곡 8 페이지 / 전적]

불같이 타오르는 욕정.

정염(正炎)[환무자탄가 12 페이지 / 전적]

한 여름.

정영(丁寧)[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3 페이지 / 전적]

조금도 틀림없이 분명함.

정영(精英)[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84 페이지 / 전적]

「精英」-精華와 같은 말임。

정옥(庭玉)[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56 페이지 / 전적]

「庭玉」-子弟의 美材를 말함. 晋書謝安傳에「譬如芝蘭玉樹 欲使其生於階庭耳」라 하였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