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정쇄(精灑)[한양가라 8 페이지 / 전적]

매우 맑고 깨끗하다.

정수(定數)[회심곡 7 페이지 / 두루마리]

정하여진 운수

정수(定數)[론학가권지일 6 페이지 / 전적]

정해진 운수.

정수(定數)[론학가권지일 6 페이지 / 전적]

정해진 운수.

정수(定數)[추풍감곡(秋風感曲) 5 페이지 / 전적]

정하여진 운수.

정수(庭樹)[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2 페이지 / 전적]

정원에 심은 나무.

정수(庭樹)[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1 페이지 / 두루마리]

마당에 있는 나무.

정수(庭樹)[추풍감곡(秋風感曲) 3 페이지 / 전적]

마당에 있는 나무.

정수(庭樹)[차운 4 페이지 / 전적]

뜰 안에 심은 나무로, 자식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됨.

정수귀술(丁水敀戌)하는구나 간입수(艮入首)[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6 페이지 / 전적]

정방(丁方)으로 내려오는 물이 술방(戌方)으로 흘러감.

정수일기(精水一器)[명륜가(明倫歌) 35 페이지 / 전적]

정성스런 물 한 그릇.

정숙(精熟)[권학가 4 페이지 / 전적]

사물에 정통하고 능숙한 것.

정숙(貞淑)[제주여행가 22 페이지 / 두루마리]

여자의 행실(行實)이 곱고 마음씨가 맑음.

정순붕(鄭順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8 페이지 / 전적]

조선 중기의 문신(1484~1548). 자는 이령(耳齡). 호는 성재(省齋). 소윤(小尹)으로서 윤원형 등과 함께 을사사화를 일으켜 윤임을 비롯한 대윤(大尹)을 제거하는 데 앞장섰다. 임백령, 정언각과 함께 을사삼간(乙巳三奸)이라 부른다.

정순붕(鄭順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0 페이지 / 전적]

조선 중기의 문신(1484~1548). 자는 이령(耳齡). 호는 성재(省齋). 소윤(小尹)으로서 윤원형 등과 함께 을사사화를 일으켜 윤임을 비롯한 대윤(大尹)을 제거하는 데 앞장섰다. 임백령, 정언각과 함께 을사삼간(乙巳三奸)이라 부른다.

정승[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6 페이지 / 전적]

「先相公」- 領相 文翼公鄭光弼이 林塘에게 祖父가 되므로 말한것임

정승(政丞)[팔도안희가 21 페이지 / 전적]

대신(大臣)과 같은 말로 정일품의 최고 벼슬이다.

정승(政丞)[한양가라 3 페이지 / 전적]

고려시대 종일품의 으뜸 벼슬.

정승상회방가(鄭承相回榜歌)[뎡슝샹회방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 철종 때 해평윤씨(海平尹氏)가 지은 것으로 전해지는 가사.

정시(庭試)[가사소리 35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나라에 경사가 있을 때 대궐 안에서 보이던 과거.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