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정령丁寧[ 1 페이지 / ]
정중함. 알뜰하게 말함. 되풀이하여 알림.
정령위(丁令威)[금강산유람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한(漢)나라 때의 요동(遼東)사람으로, 고향을 떠나 영허산(靈虛山)에 들어가서 선도(仙道)를 배워 학이 되어 천년 만에 돌아와 화표주에 앉아 '내가 집을 떠난 지 천 년이 되어 이제야 돌아오니, 성곽은 여전한데 사람들은 변했구나'라고 말했다는 고사(故事)가 있음.
정령위(丁寧威)[제석회향가(除夕懷鄕歌) 2 페이지 / 두루마리]
丁令威의 誤記로 정영위는 요동(遼東)사람으로 영호산(靈虎山)에서 도를 배워 신선이 되었다고 한다.
정령위(丁寧威)[제석회향가(除夕懷鄕歌) 2 페이지 / 두루마리]
丁令威의 誤記로 정영위는 요동(遼東)사람으로 영호산(靈虎山)에서 도를 배워 신선이 되었다고 한다.
정례(正禮)[회과자책가(悔過自責歌) 7 페이지 / 전적]
예절에 맞음.
정룡(井龍)[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17 페이지 / 전적]
해룡(海龍)과 함께 물을 보호하신 신.
정륜(靜輪)[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49 페이지 / 전적]
「靜輪」-道觀임.
정릉(貞陵)[한양가라 18 페이지 / 전적]
조선 태조의 계비 신덕왕후강씨(神德王后康氏)의 무덤. 본래 서울 중구 정동에 있었으나 태종9년(1409)에 성북구 정릉동으로 옮겼다.
정릉(靖陵)[한양가라 59 페이지 / 전적]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에 있는 중종의 묘.
정리(情理)[슈절자탄가 17 페이지 / 전적]
인정과 도리를 아울러 이르는 말.
정리(情理)[슈절자탄가 17 페이지 / 전적]
인정과 도리를 아울러 이르는 말.
정마(征馬)[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8 페이지 / 전적]
먼길을 가는 말 또는 전장(戰場)에 출전하는 말.
정마(征馬)[한흥가라 103 페이지 / 전적]
먼 길을 갈 때에 타는 말.
정마(征馬)[한양가라 41 페이지 / 전적]
먼 길을 갈 때에 타는 말 또는 싸움터에 나가는 말.
정마(征馬)[신힁가라 19 페이지 / 전적]
먼 길을 갈 때에 타는 말.
정마(征馬) 들고[한흥가라 43 페이지 / 전적]
멀리 갈 때 타는 말의 고삐를 들고.
정마(征馬) 들고[한흥가라 43 페이지 / 전적]
멀리 갈 때 타는 말의 고삐를 들고.
정마(征馬) 들고[한흥가라 43 페이지 / 전적]
멀리 갈 때 타는 말의 고삐를 들고.
정마征馬[ 1 페이지 / ]
가던 말.
정만인(鄭萬人)[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58 페이지 / 전적]
고종 때 손금에 왕(王) 글자가 새겨 있다고 하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