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접인중생(接引衆生)[권왕가 52 페이지 / 전적]

중생을 맞이하여 인도함.

접전(接戰)[초한가라 15 페이지 / 전적]

전투를 벌이다.

접전(接戰)[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3 페이지 / 전적]

경기나 전투에서 서로 맞붙거나 싸움.

접정(接亭)[양친가(養親歌) 28 페이지 / 전적]

누정 가까이에 있는

접정(接亭)[사도곡(思悼曲) 2 페이지 / 전적]

누정 가까이에 있는

접주(接主)[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69 페이지 / 전적]

동학에서 접(接)의 우두머리.

접중[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12 페이지 / 전적]

「接中」―國俗이 一堂에 함께 모여 做工(공부)하는 사람을 서로간에 接이라 稱하였음。그래서 開接、破接의 用語가 생기게 된 것임

접중에[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60 페이지 / 전적]

「接中」―선비들이 모여 함께 科文익히는 것을 同接이라 稱하는데 곧 交接의 義임. 禮記表記에 「君子之接 如水」라 하였음.

젓 담글 제[녁대가(녁가) 17 페이지 / 전적]

구후는 아름다운 딸을 주왕(紂王)의 황후로 들였으나 죽음을 당하고, 구후 자신도 주왕에게 죽음을 당하여 그 시체는 젓으로 담가짐.

젓국지[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5 페이지 / 전적]

조기 젓국을 냉수에 타서 국물을 부어 담근 김치.

젓나무[제주여행가 14 페이지 / 두루마리]

전나무.

젓대[청춘사연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대금(大笒)

젓졔소[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15 페이지 / 전적]

젓대소리. 피리소리.

젓치 않고[면앙정가(俛仰亭歌) 5 페이지 / 전적]

두려워하지 않고.

젓 쒸긴시[형제붕우소회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곁에 사람 시킨 듯이.

[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33 페이지 / 전적]

「傾盖」-처음 만난 사람에게 쓰는 말임. 孔叢子에「孔子與程子 相遇於道 傾盖而語」하였음.

정 이천(程伊川)[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56 페이지 / 전적]

「四勿」― 論語 顔淵篇에 「非禮勿視 非禮勿聽 非禮勿言 非禮勿動」이란 대문이 있는데, 程伊川은 이 四勿에 대하여 箴을 지었음.

정 자정[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98 페이지 / 전적]

약포(藥圃) 정탁(鄭琢)의 자.

정 자진(鄭子眞)[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24 페이지 / 전적]

「鄭子眞」 ― 이름은 樸이요 漢 褒中人인데 谷口에 隱居하며修道守黙하여 이름이 京師에 가득했음.

정(亭)[면앙집(俛仰集 一)1 29 페이지 / 전적]

風樹亭이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