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정경(情景)[시절가 9 페이지 / 전적]
정서를 자아내는 흥취와 경치. 사람이 처하여 있는 모습이나 형편.
정경(情景)[별한가 13 페이지 / 전적]
사람이 처하여 있는 모습이나 형편.
정경부인(貞敬夫人)[해동졍상국회방연(동졍상국회방연) 4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 때 정1품, 종1품의 문무관의 아내의 작위로 정부인의 품계임.
정경부인(貞敬夫人)[메물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朝鮮) 시대(時代) 때 정ㆍ종1품(正從一品)의 문무관(文武官)의 아내의 봉작(封爵). 고종(高宗) 2년(1865)부터 문무관(文武官)ㆍ종친(宗親)의 아내의 봉작(封爵)으로 병용(竝用)하였음. 정부인(貞夫人)의 윗 품계(品階).
정경부인(貞敬夫人)[메물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朝鮮) 시대(時代) 때 정ㆍ종1품(正從一品)의 문무관(文武官)의 아내의 봉작(封爵). 고종(高宗) 2년(1865)부터 문무관(文武官)ㆍ종친(宗親)의 아내의 봉작(封爵)으로 병용(竝用)하였음. 정부인(貞夫人)의 윗 품계(品階).
정경부인(貞敬夫人)[뎡슝샹회방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 시대에, 정일품ㆍ종일품 문무관의 아내에게 주던 봉작. 고종 2년(1865)부터 종친의 아내에게도 주었다.
정경부인(貞敬夫人)[회혼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시대에 정일품, 종일품 문무관의 아내에게 주던 봉작. 고종 2년(1865)부터는 종친의 아내에게도 주었다.
정경세(鄭經世)[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30 페이지 / 전적]
조선 중기의 성리학자(1563~1633). 자는 경임(景任). 호는 우복(愚伏)ㆍ일묵(一默). 유성룡의 문인으로, 성리학에 밝았으며 예론(禮論)에 뛰어나 김장생 등과 함께 예학파로 불리었다. 저서에 ≪우복집(愚伏集)≫, ≪사문록(思問錄)≫, ≪상례참고(喪禮參考)≫ 등이 있다.
정고(正考)[석천집(石川集二-一)2-1 59 페이지 / 전적]
人名 周人
정곡(情曲)[종매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간곡한 정, 심곡(心曲).
정곡(情曲)[충효가(忠孝歌) 8 페이지 / 전적]
정을 담은 곡진한 노래.
정곡(情曲)[고분가 19 페이지 / 전적]
간곡한 정.
정곡(情曲)[고분가 19 페이지 / 전적]
간곡한 정.
정곡(情曲)[자소가(소가) 4 페이지 / 전적]
간곡한 정. 심곡.
정곡(正鵠)[츅친서라 14 페이지 / 전적]
원래 과녁의 한 가운데를 말하나 가장 중요한 요점이나 핵심을 말하는데 더 잘 쓰인다.
정곡(正鵠)[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13 페이지 / 전적]
「正鵠」- 布에 그린 것은 正이라 이르고 草에 그린것은 鵠이라 이르는데, 다 射의 的임. 中庸에「失諸正鵠」리란 대문이 있음.
정곤수(鄭崑壽)[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9 페이지 / 전적]
조선 중기 문신. 황해도 관찰사로 나가 기근을 잘 극복하여 서천군에 봉해졌고 이어 병조 · 이조의 참판, 대사간을 거쳐 임진왜란 때 우승지로서 선조의 서행에 호종하였다. 호종의 원훈으로 책록되었으며 서역에 뛰어나고 전고에도 밝았다.
정곤수(鄭崑壽, 1538-1602)[문청공연행일기(文淸公燕行日記) 26 페이지 / 전적]
이황의 문인으로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우승지에 올라 선조를 의주에 호송하였다. 진주사(陳奏使)가 되어 명나라에 가서 병부상서 석성(石星)을 움직여 구원병을 파견케 하였다. 나중에는 사은사(謝恩使)로 명에 다녀오는 등 대명외교를 활발하게 하였다
정공(丁公)[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38 페이지 / 전적]
「丁公鶴」- 丁令威는 漢 曲阿 太霄觀의 道士임. 捜神記에『丁令威는 靈虗山에서 道를 배웠는데 뒤에 鶴으로 化하여 遼東으로돌아와 空中에 徘徊하다가 華表極에 날아앉아 하는말이「有鳥有鳥丁令威 去家千年今始歸 城郭如古人民非 何不學仙塚累累」』라 하였음.
정공(定公)[명륜가(明倫歌) 31 페이지 / 전적]
등(藤)나라의 정공(定公)으로 등문공(滕文公)의 아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