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정심수덕(正心修德)[창덕가2 77 페이지 / 전적]
마음을 바르게 하고 덕을 닦음.
정심수덕(正心修德)[창덕가2 87 페이지 / 전적]
마음을 바르게 하고 덕을 닦음.
정심수도(正心修道)[도덕가 6 페이지 / 전적]
마음을 올바르게 하고 도를 닦음.
정심수도(正心修道)[흥비가 2 페이지 / 전적]
마음을 올바르게 하고 도를 닦음.
정심수신(定心修身)[도슈샤 8 페이지 / 전적]
정심수신(正心修身). 마음을 올바르게 하고 몸을 닦음.
정심수신(正心修身)[교훈가 3 페이지 / 전적]
마음과 몸을 바르게 가다듬음.
정심정기(正心正氣)[경세가(警世歌) 4 페이지 / 전적]
바른 마음과 바른 기운.
정심정기(正心正氣)[원시가(源時歌) 2 페이지 / 전적]
바른 마음과 바른 기운.
정심정기(正心正氣)[정기안심가(定基安心歌) 9 페이지 / 전적]
바른 마음과 바른 의기.
정심정기(正心正氣)[창덕가2 6 페이지 / 전적]
마음을 바르게 하고 기운을 바르게 함.
정심정기(正心正氣)[창덕가2 73 페이지 / 전적]
마음을 바르게 하고 기운을 바르게 함.
정심정기(正心正氣)[창덕가2 6 페이지 / 전적]
마음을 바르게 하고 기운을 바르게 함.
정심정기(正心正氣)[창덕가2 74 페이지 / 전적]
마음을 바르게 하고 기운을 바르게 함.
정아(菁莪)[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76 페이지 / 전적]
「菁莪」―詩 小雅의 章名인데 人材를 長育하는 것을 기뻐하여 지은 것임. 위에 자세히 나타나 있음.
정아(菁莪)[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03 페이지 / 전적]
「菁莪」- 序文의 註釋에 나타나 있음.
정아(菁莪)[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26 페이지 / 전적]
詩經 小雅의 章名인데 賢才를 얻어서 敎育함을 즐거워 하는 詩임. 小序에 「君子能長育人材 天下喜樂之矣」라 하였음.
정아(菁莪)[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80 페이지 / 전적]
「菁莪百朋」-詩經 小雅 菁莪에 「菁菁者莪 在彼中陵 旣見君子錫我百朋」이라 했음。百朋은 註에 「古者貨貝 五貝爲朋」이라 하였음。
정안(鄭 . 安)[송강집(松江集七)7 94 페이지 / 전적]
중종(中宗)때의 정광필(鄭光弼), 안당(安塘)을 이름
정약용(丁若鏞)[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50 페이지 / 전적]
조선 후기의 학자(1762~1836). 자는 미용(美鏞). 호는 다산(茶山)ㆍ사암(俟菴)ㆍ자하도인(紫霞道人)ㆍ철마산인(鐵馬山人)ㆍ탁옹(蘀翁)ㆍ태수(苔叟). 문장과 경학(經學)에 뛰어난 학자로, 유형원과 이익 등의 실학을 계승하고 집대성하였다. 신유사옥 때 전라남도 강진으로 귀양 갔다가 19년 만에 풀려났다. 저서에 ≪목민심서≫, ≪흠흠신서≫, ≪경세유표≫ 따위가 있다.
정약종(丁若鍾)[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49 페이지 / 전적]
조선 후기의 학자ㆍ천주교인(1760~1801). 약용(若鏞)의 셋째 형이다. 이승훈과 함께 청나라의 신부 주문모를 맞아들이고, 천주교회장이 되어 전교(傳敎)에 힘쓰다가 체포되어 처형당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