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정옥(頂玉)[송강집(松江集五)5 82 페이지 / 전적]

당상관(堂上官)이 망건(網巾)에 다는 옥관자(玉貫子).

정옥봉(鄭玉峰)[옥산가라 22 페이지 / 전적]

조선 중기 임진왜란 때의 의병인 정대순(鄭大淳). 본관은 영일(迎日). 호는 옥봉(玉峰). 고려 말 충신 문충공 정몽주(鄭夢周)의 후예. 경상북도 영일 출신으로, 평생 충의로써 나라를 구하는 데 힘씀.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가재를 털어 창의하여 최기필(崔琦弼)을 도와 왜적을 토벌하는 데 앞장섬.

정온(鄭蘊)[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30 페이지 / 전적]

조선 중기의 문신(1569~1641). 자는 휘원(輝遠). 호는 동계(桐溪)ㆍ고고자(鼓鼓子). 부제학을 지냈다. 병자호란 때 척화(斥和)를 주장하였으며, 이듬해 화의가 성립되자 벼슬을 버리고 은거하였다. 저서에 ≪덕변록(德辨錄)≫, ≪동계집≫ 등이 있다.

정온(鄭蘊)[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35 페이지 / 전적]

조선 중기의 문신(1569~1641). 자는 휘원(輝遠). 호는 동계(桐溪)ㆍ고고자(鼓鼓子). 부제학을 지냈다. 병자호란 때 척화(斥和)를 주장하였으며, 이듬해 화의가 성립되자 벼슬을 버리고 은거하였다. 저서에 ≪덕변록(德辨錄)≫, ≪동계집≫ 등이 있다.

정왕(定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26 페이지 / 전적]

발해의 제7대 왕(?~812). 이름은 대원유(大元瑜). 강왕의 아들로, 영덕(永德)이라는 연호를 썼다.

정왕정왕정씨왕(鄭王鄭王鄭氏王)[길자가(吉字歌) 3 페이지 / 전적]

여기에서 정씨왕은 『격암유록(格菴遺錄)』 등의 예언서에 등장하는 정도령을 뜻하는 것으로 그는 하늘의 섭리인 정도와 정령을 가지고 올바른 세상을 구현하고, 고통 받는 세상을 구원할 수 있도록 하는 존재이다.

정왕정왕정씨왕(鄭王鄭王鄭氏王)[정도선림하정씨가(正道仙林下鄭氏歌) 1 페이지 / 전적]

여기에서 정씨왕은 『격암유록(格菴遺錄)』 등의 예언서에 등장하는 정도령을 뜻하는 것으로 그는 하늘의 섭리인 정도와 정령을 가지고 올바른 세상을 구현하고, 고통 받는 세상을 구원할 수 있도록 하는 존재이다.

정우복(鄭愚伏)[한흥가라 64 페이지 / 전적]

정경세(鄭經世, 1563~1633). 본관 진주(晉州). 자 경임(景任). 호 우복(愚伏)·일묵(一默)·하거(荷渠). 초시(初諡) 문숙(文肅). 개시(改諡) 문장(文莊). 조선 중기 문신 겸 학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워 수찬이 되고 정언·교리·정랑·사간에 이어 1598년 경상도 관찰사가 되었다. 예론에 밝아서 김장생 등과 함께 예학파로 불렸다. 시문과 서예에도 뛰어났다.

정우복(鄭愚伏)[한흥가라 64 페이지 / 전적]

정경세(鄭經世, 1563~1633). 본관 진주(晉州). 자 경임(景任). 호 우복(愚伏)·일묵(一默)·하거(荷渠). 초시(初諡) 문숙(文肅). 개시(改諡) 문장(文莊). 조선 중기 문신 겸 학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워 수찬이 되고 정언·교리·정랑·사간에 이어 1598년 경상도 관찰사가 되었다. 예론에 밝아서 김장생 등과 함께 예학파로 불렸다. 시문과 서예에도 뛰어났다.

정우복(鄭愚伏)[한흥가라 64 페이지 / 전적]

정경세(鄭經世, 1563~1633). 본관 진주(晉州). 자 경임(景任). 호 우복(愚伏)·일묵(一默)·하거(荷渠). 초시(初諡) 문숙(文肅). 개시(改諡) 문장(文莊). 조선 중기 문신 겸 학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워 수찬이 되고 정언·교리·정랑·사간에 이어 1598년 경상도 관찰사가 되었다. 예론에 밝아서 김장생 등과 함께 예학파로 불렸다. 시문과 서예에도 뛰어났다.

정우복(鄭愚伏)[한양가라 63 페이지 / 전적]

조선 전기 때 성리학자인 정경세(鄭經世, 1563-1633)을 말한다. 유성룡의 제자이며 예론(禮論)에 치중하여 김장생(金長生)과 함께 예학파를 형성했다.

정운(停雲)[송강집(松江集二)2 79 페이지 / 전적]

사람을 그리는 데 씀. 陶濳의 詩에 「藹藹停雲」

정운(停雲)[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40 페이지 / 전적]

「停雲」-陶潜의 停雲詩에『藹藹停雲 濛濛時雨……良朋悠邈搔首廷佇』라 했고 그 題에 『停雲思友也』라 했다. 그래서 後人이 벗 그리는데 使用하고 있음.

정원[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67 페이지 / 전적]

「大椿」- 長壽木임.莊子 逍遥遊에 「上古有大椿者 以八千歲爲春 八千歲爲秋」라 하였음.그래서 俗稱이 父를 椿堂이라 함.

정원사령(政院使令)[로인가 6 페이지 / 전적]

승정원(承政院)의 한 관직.

정원용(鄭元容)[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48 페이지 / 전적]

조선 후기의 문신(1783~1873). 자는 선지(善之). 호는 경산(經山). 헌종이 죽자 영의정으로서 원범(元範)의 영립(迎立)을 주장하여 철종으로 즉위하게 하였다. 암행어사 제도의 부활을 건의하여 삼정(三政)의 문란을 다스리고자 노력하였다.

정원진(程元振)[고봉선생문집 권이(高峰先生文集 券二) 62 페이지 / 전적]

당(唐) 나라 때의 환관(宦官). 대종(代宗)을 옹립한 공로로 표기대장군(驃騎大將軍)에 오르고 빈국공(邠國公)에 봉해졌으며, 금위군(禁衛軍)을 총지휘하여 세력이 막강해지자, 온갖 부정과 비리를 자행하였다. 이로 말미암아 기강이 무너지고 군사들 역시 사기가 극도로 저하되어 있던 중, 토번(吐蕃) ,당항 (黨項)의 침공을 받고 황제가 섬(陝) 지방으로 파천하게 되자, 그를 처단하여야 한다는 여론에 밀려 삭탈관직당하고 전리(田里)로 추방되었다. 그후 삼원(三原)에서 부인의 복장을 하고 장안(長安)으로 들어와 역모(逆謀)를 꾸미다가 발각되어 유배가는 도중 죽었다.《新唐書 卷二百七官者 程元振列傳》

정월 십일[형제붕우소회가라 13 페이지 / 두루마리]

정월 십일에.

정월(正月)[노정가라(노졍기라) 34 페이지 / 전적]

음력으로 한 해의 첫째 달.

정월(正月)이라 망일(望日)[과부가(寡婦歌) 2 페이지 / 전적]

세시 풍속 상 음력 ‘정월 대보름’을 가리킴. 망일(望日) : 망(望)이 되는 날. 곧 음력 보름날.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