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정일집중(精一執中)[지리산이수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오로지 정일(精一)하여 중용(中庸)의 도를 지킨다는 뜻.

정임(定衽)[사친가(事親歌) 37 페이지 / 전적]

이부자리를 정함.

정임(定衽)[자직가(子職歌) 2 페이지 / 전적]

이부자리를 정함.

정자(亭子)나무[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16 페이지 / 전적]

집 근처나 길가에 있는 큰 나무.

정자(程子)[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82 페이지 / 전적]

「程子座」-朱公掞이 明道先生을 汝州에서 뵈고 돌아와 사람에 말하되 「나는 春風속에 一箇月을 앉았었다」라 하였음

정자(程子)[조심가라 11 페이지 / 전적]

중국 송나라의 유학자 정호(程顥)와 정이(程頥) 형제를 높여 이르는 말.

정자(程子)[조심가라 11 페이지 / 전적]

중국 송나라의 유학자 정호(程顥)와 정이(程頥) 형제를 높여 이르는 말.

정자건(程子巾)[송강집(松江集三)3 87 페이지 / 전적]

정자(程子)가 처음 고안하여 창작한 건(巾).

정자진(鄭子眞)[송강집(松江集一)1 46 페이지 / 전적]

정자진(鄭子眞)의 이름은 박(樸)인데 한(漢)나라 포중(褒中) 사람으로 곡구(谷口)에 살면서 도(道)를 닦아서 이름이 경사(京師)에 떨쳤음. 그래서 후세(後世) 시인(詩人)들이 정(鄭)의 성을 가진 자를 만나면 곡구를 들어 칭하였음.

정자진(鄭子眞)[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05 페이지 / 전적]

法言에 「鄭子眞이 巖下에서 밭을 갈았으되 이들이 京師를 뒤흔들었다」하였음.

정재[여자석별가 17 페이지 / 전적]

부엌.

정저와이(井底蛙爾)[몽즁운동가 5 페이지 / 전적]

우물 안 개구리 같음. 정저와는 우물 안 개구리라는 뜻으로, 견문이 좁고 세상 형편에 어두운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정전[팔역가(八域歌) 14 페이지 / 전적]

우물 정자 모양으로 땅을 9등분한 사방 1리의 농지

정전(井田)[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94 페이지 / 전적]

「井田」― 輿地勝覽에 의하면 井田의 遺基가 아직도 남아 있다하였음

정전(庭前)[나웅하상토굴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마당 앞의 뜰’이라는 뜻.

정전(庭前)[봉별가 33 페이지 / 전적]

마당 앞.

정전(政殿)[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5 페이지 / 전적]

왕이 나와서 조회(朝會)를 하던 궁전. 경복궁의 근정전, 창덕궁의 인정전이 있다.

정전(靜專)[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73 페이지 / 전적]

「方寸靜專」- 方寸은 心을 말함이요 靜專는 乾을 말함.易 繫辭에 「夫乾 其靜也專」이라 하였음.

정전법(井田法)[호남가(湖南歌) 4 페이지 / 전적]

중국 은(殷), 주(周) 때에 전야(田野)를 농민에 분배하되 정(井)자(字) 모양으로 구획하여 1정(井)을 8가(家)가 각각 1구(區) 백(白)묘씩 사유(私有)로 하고, 그 중앙에 있는 백묘는 공전(公田)으로 하여 8가가 공전(公田) 백묘(百畝)를 공동 경작하여 국세(國勢)로 바치는 법(法).

정전법(井田法)[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주나라 때 처음 실시한 토지제도를 말한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