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정좌靜坐[ 1 페이지 / ]
마음을 가라앉히고 조용히 앉는 것
정주(程朱)[송강집(松江集六)6 10 페이지 / 전적]
정효(程顥)와 주희(朱熹)를 이름
정주(程朱)[해몽가라(몽가라) 12 페이지 / 전적]
중국 송나라의 유학자 정호(程顥)ㆍ정이(程頥) 형제와 주희를 아울러 이르는 말.
정주(程朱)[화조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송나라의 유학자 정호(程顥)ㆍ정이(程頥) 형제와 주희를 아울러 이르는 말.
정주(鼎廚)[시절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부엌과 안방 사이에 벽이 없이 부뚜막과 방바닥이 한데 잇닿은 곳. 정주간(鼎廚間).
정주汀洲[ 1 페이지 / ]
얕은 물 가운데 토사가 쌓인 곳.
정주간(鼎廚間)[메물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부엌과 안방 사이에 벽이 없이 부뚜막과 방바닥이 한데 잇달린 곳. 함경도(咸鏡道) 지방(地方)에서 많이 볼 수 있음.
정주간(鼎廚間)[메물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부엌과 안방 사이에 벽이 없이 부뚜막과 방바닥이 한데 잇달린 곳. 함경도(咸鏡道) 지방(地方)에서 많이 볼 수 있음.
정주부자(程朱夫子)[거창가라 13 페이지 / 전적]
중국 송나라의 유학자 정호(程顥)ㆍ정이(程頥) 형제와 주희를 아울러 이르는 말.정호(程顥, 1032~1085)의 자는 백순(伯淳), 호는 명도(明道), 시호는 순(純).허난성[河南省] 뤄양[洛陽] 출생.존칭으로 명도선생이라 불리고, 동생 정이(程頤
정주부자(程朱夫子)[아림가(娥林歌) 13 페이지 / 전적]
중국 송나라의 유학자 정호(程顥)ㆍ정이(程頥) 형제와 주희를 아울러 이르는 말. 정호(程顥, 1032~1085)의 자는 백순(伯淳), 호는 명도(明道), 시호는 순(純). 허난성[河南省] 뤄양[洛陽] 출생. 존칭으로 명도선생이라 불리고, 동생 정이(程頤
정주자(程朱子)[경화가(警和歌) 16 페이지 / 전적]
정호(程顥) ․ 정이(程頤) 형제와 주희(朱熹)를 말함.
정주자(程朱子)[경화가(警和歌) 16 페이지 / 전적]
정호(程顥) ․ 정이(程頤) 형제와 주희(朱熹)를 말함.
정중(鄭重)[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八)8 103 페이지 / 전적]
頻煩의 뜻임.
정중부(鄭仲夫)[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5 페이지 / 전적]
고려 시대의 무신(1106~1179)으로 무신을 학대하는 데에 불만을 품고 정변을 일으켜, 임금을 폐하고 정권을 잡은 후 무단 정치를 행하다가 경대승에게 피살되었다.
정지[간양되소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부엌’의 방언(강원, 경상, 전라, 충북).
정지[청춘사업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부엌’의 방언.
정지[화초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부엌의 방언.
정지[간양되소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부엌’의 방언(강원, 경상, 전라, 충북).
정지[똥생연문가라(생연문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부엌.
정지[청춘사업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부엌’의 방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