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정찰(情札)[북쳔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정답고 반가운 편지.
정찰(情札)[팔도가 10 페이지 / 전적]
따뜻한 정이 어린 편지.
정찰(情札)[팔도가 10 페이지 / 전적]
따뜻한 정이 어린 편지.
정찰(情札)[북쳔가 16 페이지 / 두루마리]
따뜻한 정이 어린 편지.
정처소박(正妻疏薄)[오윤가 20 페이지 / 전적]
정처는 정실(正室)과 같은 말로 아내를 첩(妾)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이며, 소박은 처나 첩을 박대함.
정천익(鄭天益)[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69 페이지 / 전적]
고려 공민왕 때의 농부(?~?)이다. 문익점의 장인으로, 문익점이 중국 원나라에서 가져온 목화씨를 심어 목화를 퍼뜨리고, 씨아와 물레를 만들어 사용하게 하였다.
정철(鄭澈 1536∼1593)[명륜가(明倫歌) 10 페이지 / 전적]
조선 중기의 문인·정치가. 본관은 연일(延日). 자는 계함(季涵), 호는 송강(松江). 임억령(林億齡)에게 시를 배우고 김인후(金麟厚)·송순(宋純)·기대승(奇大升)에게 학문을 배웠으며, 이이(李珥)·성혼(成渾)·송익필(宋翼弼) 같은 유학자들과 친교를 맺었다.
정철(鄭澈)[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3 페이지 / 전적]
조선 명종ㆍ선조 때의 문신ㆍ시인(1536~1593). 자는 계함(季涵). 호는 송강(松江). 가사 문학의 대가로 국문학사상 중요한 <관동별곡>, <사미인곡> 등의 가사 작품과 시조 작품을 남겼다. 저서에 ≪송강집≫과 ≪송강가사≫가 있다.
정청(靜聽)[벽천가 49 페이지 / 전적]
조용히 들음.
정초(鄭招)[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83 페이지 / 전적]
조선 세종 때의 문신(?~1434)으로 자는 열지(悅之), 벼슬은 대제학에 이르렀다. 왕명으로 정인지 등과 함께 간의대를 만들었으며,
정축(鼎軸)[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49 페이지 / 전적]
「鼎軸」- 鼎은 宰輔의 稱이요 軸은 樞要의 地位을 말함.
정축년[팔역가(八域歌) 12 페이지 / 전적]
1637년 인조가 삼전도에서 청 태조에게 항복한 사건
정축년(丁丑年)[한흥가라 46 페이지 / 전적]
세조 3년(1457).
정축년(丁丑年)[한흥가라 46 페이지 / 전적]
세조 3년(1457).
정축년(丁丑年)[한흥가라 46 페이지 / 전적]
세조 3년(1457).
정축년(丁丑年)[한양가라 45 페이지 / 전적]
서기 1457년.
정충록[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32 페이지 / 전적]
「精忠錄」-書名인데, 宋나라 忠臣 岳飛의 기록을 말함. 高宗은 精忠岳飛라는 네 글자를 手書하여 旗에 刺繡하여 下賜한 일이 있음. 岳飛의 事蹟은 위에 자세히 보임.
정충신[팔역가(八域歌) 8 페이지 / 전적]
인조 때 장수인 정충신, 후에 금남군에 봉해짐, 광주광역시에 금남로가 있음
정충신[팔역가(八域歌) 39 페이지 / 전적]
조선 무장
정충신(鄭忠信)[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31 페이지 / 전적]
조선 인조 때의 무신(1576~1636). 자는 가행(可行). 호는 만운(晩雲). 이괄의 난, 정묘호란 때에 활약하였다. 천문, 지리, 복서(卜筮), 의술 따위에 정통하였으며 매우 청렴하였다. 저서에 ≪만운집≫, ≪백사북천일록(白沙北遷日錄)≫, ≪금남집(錦南集)≫이 있고, 시조 작품 3수가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