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서협(瑞莢)[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24 페이지 / 전적]
「瑞莢」- 蓂莢인데 日朔을 알려주는 靈草로서 堯의 階前에 돋아났음. 위에보임.
서형(庶兄)[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3 페이지 / 전적]
정실에게서 난 아들이 첩에게서 태어난 형을 이르는 말.
서형(庶兄)[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8 페이지 / 전적]
정실에게서 난 아들이 첩에게서 태어난 형을 이르는 말.
서호[석천집(石川集二-五)2-5 70 페이지 / 전적]
서호(西湖)의 고산(孤山)에 살았던 임포(林逋)를 말함.
서호(西湖)[석천집(石川集二-四)2-4 104 페이지 / 전적]
中國 杭州에 있는 湖水.
서호(西湖)[춘몽가(츈몽가) 23 페이지 / 전적]
중국 저장성의 성도.전당강 북안에 있으며 풍광명미로 알려져 있음.
서호(西湖)[춘몽가(츈몽가) 23 페이지 / 전적]
중국 저장성 항주시의 서쪽에 있는 호수(湖水).옛부터 명승지로 유명.호반에는 보숙탑, 갑구백탑, 영은사와 백락천, 소식이 쌓았다는 백제와 소제가 있고, 임포가 살았다는 고산이라 불리우는 소도(小島)에는 청대의 문란각, 서령인사, 절강박물관 등이 있음.예부터 문인묵객에게 사랑을 받고 서호십경(西湖十景)으로 선정됨.
서호라(西湖)[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0 페이지 / 전적]
「西湖」- 孤山處士 林逋의 鶴을 기른 사실을 읊은 것임.
서호의 병골[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57 페이지 / 전적]
송 나라 시인 임포(林逋)가 서호에 살았으므로 서호처사(西湖處士)라 했는데, 서화(書畵)와 시를 잘하여 그의 매화시가 세상에 회자(膾炙)되었다한다.《宋史卷四百五十七》
서호처사(西湖處士)[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56 페이지 / 전적]
「西湖處士」-林逋는 宋 錢塘人데 字는 君復이요 恬淡好古하여 名利를 求하지 아니하고 西湖의 孤山에 隱居하여 二十年동안 足跡이 城市에 나가지 않았다. 書畵에 能하고 詩를 잘하여 그 詠梅詩로 「踈影橫斜水淸淺 暗香浮動月黃昏」의 句는 더욱사람의 입에 膾炙하며 장가들지 아니하여 아들이 없고, 植梅蓄鶴하여 스스로 짝이 되니 時人이 인하여 梅妻鶴子라 일렀다. 西湖의 孤山에 그 墓와 鶴塚이 남아 있으며 諡는 和淸先生이다.
서홍연(徐洪鍊)[한흥가라 96 페이지 / 전적]
미상.
서화문(西華門)[연행별곡(연별곡) 24 페이지 / 전적]
고려 시대 궁성(宮城)의 서문(西門)을 가리킴.동문(東門)을 동화문(東華門)이라 하였고 남문(南門)은 승평문(昇平門)이라고 함.
서회(敍懷)[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36 페이지 / 전적]
회포를 풀어 말함.
서후백(西侯伯)[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0 페이지 / 전적]
서백(西伯)과 같은 말. 서백은 문왕(武王)의 칭호로 서방 제후(諸侯)의 우두머리라는 뜻임.
서후백(西侯伯)[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0 페이지 / 전적]
서백(西伯)과 같은 말. 서백은 문왕(武王)의 칭호로 서방 제후(諸侯)의 우두머리라는 뜻임.
서희(徐熙)[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0 페이지 / 전적]
고려 전기의 외교가(942~998)로 자는 염윤(廉允)이다. 성종 12년(993) 거란이 침입하였을 때에, 적장 소손녕과 담판하고 유리한 강화를 맺었으며, 이듬해에는 여진을 몰아내었다.
서럽다[ 1 페이지 / ]
서느럽다. 서늘하다.
서고[용문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서래(徐來)하고. 천천히 불어오고.
석 세 짚신[효부가 17 페이지 / 전적]
거칠게 만든 짚신.
석가(釋迦)[금강산유람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석가모니(釋迦牟尼). 불교의 개조. 기원전 624년에 슈도다나와 마야 부인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29세 때에 출가하여 35세에 득도하였음. 45년 동안 인도 각지를 다니며 포교하다가 80세에 입적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