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서왕모(西王母)[헌수가(헌슈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신화에 나오는 신녀(神女)의 이름. 불사약을 가진 선녀라고 함.

서왕모(西王母)[만수가(만슈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신화에 나오는 신녀(神女)의 이름으로 불사약(不死藥)을 가진 선녀.

서왕모(西王母)[서가여래가사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신화에 나오는 여선(女仙). 곤륜산(崑崙山)에 살며, 불사약(不死藥)을 가졌다고 함.

서왕모(西王母)[만수가(만슈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신화에 나오는 신녀(神女)의 이름으로 불사약(不死藥)을 가진 선녀.

서왕모(西王母)[무제(고하매) 4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신화에 나오는 신녀(神女)의 이름. 불사약을 가진 선녀.

서왕모(西王母)[무제(▩▩▩▩) 13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신화에 나오는 신녀(神女)의 이름.

서왕모(西王母)[헌수가(헌슈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신화에 나오는 신녀(神女)의 이름. 불사약을 가진 선녀라고 함.

서왕모(西王母)[칠녀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신화에 나오는 여선(女仙). 곤륜산(崑崙山)에 살며, 불사약(不死藥)을 가졌다고 함.

서왕모(西王母)[쌍옥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서왕모(西王母)[동국조선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도교 신화에 나오는 신녀(神女)의 이름. 사람의 얼굴에 호랑이의 이(齒), 표범의 꼬리를 가진 산신령이 아름다운 여인으로 변했다고 함.

서왕모(西王母)[춘몽가(츈몽가) 35 페이지 / 전적]

벽도나무의 꽃.

서왕모(西王母)[춘몽가(츈몽가) 35 페이지 / 전적]

중국의 여신, 원래 서역의 국왕명이었다고도 함.『산해경』에는 장수를 얻은 신선으로 곤륜산에 살며 인면, 호치, 표미로 머리에는 잠(簪)을 꽂고, 삼청조가 음식을 운반한다고 함.한대에는 불로불사의 신선이란 신앙이 민간에 유포되어, 그 불사약을 항아가 훔쳐 달나라로 달아난 이야기와 동방의 남신 동왕부가 배우자로 정해짐.

서왕모의 선도[회경가 3 페이지 / 전적]

서왕모(西王母)는 중국신화에 나오는 신녀의 이름이며, 서왕모가 사는 곤륜산에는 불사의 약인 선도나무가 있었다고 전해짐

서용(敍用)[옥셜화답 12 페이지 / 전적]

죄를 지어 면관(免官)되었던 사람을 다시 벼슬자리에 등용함.

서용(敍用)[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4 페이지 / 전적]

죄를 지어 면관(免官)되었던 사람을 다시 벼슬자리에 등용함.

서용(敍用)[잣치가라(치라) 20 페이지 / 전적]

죄를 지어 면관(免官)되었던 사람을 다시 벼슬자리에 등용함.

서운[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47 페이지 / 전적]

고려 때 천문 (天文)을 보던 곳을 서운관 (書雲觀)이라 하였는데 조선 세종 (世宗)때 관상감 (觀象監)으로 개칭 하였다.

서운(書雲)[송강집(松江集二)2 65 페이지 / 전적]

옛사람이 동지(冬至), 하지(夏至), 춘분(春分)에는 대관(臺觀)에 오색의 구름기운을 바라보며 길흉을 점치고서 책(策)에다 썼음. 左傳에「分至啓閉 心書雲物…」

서울[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49 페이지 / 전적]

「洛師」―國都를 말함. 洛은 洛陽인데 周平王이 이에 建都하고東漢 光武帝도 역시 洛陽에 建都하였기 때문에 빌려서 京을表示한 것이요 師는 衆의 뜻임.

서원훼철(書院毁撤)[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57 페이지 / 전적]

1871년 대원군이 내린 서원철폐령을 말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