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서상렬(徐相烈)[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73 페이지 / 전적]

한말의 의병장(?~1896)으로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宣傳官)을 지내다가 향리에 돌아가 유중교(柳重敎)의 문하에서 학문을 닦았다. 1895년 민비(閔妃)가 시해(弑害)되자 의병에 투신하여 96년 낭천(狼川)에서 전사하였음.

서새산전 백로비(西塞山前白鷺飛)[옥산가라 54 페이지 / 전적]

당나라 때 시인 장지화의 <어부사(漁父詞)>라는 작품의 한 구절. 서새산 앞에 백로가 날고 라는 뜻.

서색(瑞色)[율국회초가(뉼국회초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상서로운 빛깔.

서색(瑞色)[율국회초가(뉼국회초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상서로운 빛깔.

서생(書生)[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93 페이지 / 전적]

유학을 공부하는 사람.

서생포(西生浦)[문청공연행일기(文淸公燕行日記) 16 페이지 / 전적]

경남 울산시에 있는 포구이다.

서서(徐庶)[조심가라 39 페이지 / 전적]

본래 유비의 밑에서 활약하던 지략가였으나 조조가 그를 얻기 위해 모친을 억류한 뒤 필체를 위조한 가짜 편지를 보내자 속아서 어쩔 수 없이 조조에게 감. 그러나 어머니는 이 일로 울분을 참지 못하고 자결하였고 서서 역시 조조에게 분노하며 그를 위해 일하지 않음.

서서(徐庶)[조심가라 39 페이지 / 전적]

본래 유비의 밑에서 활약하던 지략가였으나 조조가 그를 얻기 위해 모친을 억류한 뒤 필체를 위조한 가짜 편지를 보내자 속아서 어쩔 수 없이 조조에게 감. 그러나 어머니는 이 일로 울분을 참지 못하고 자결하였고 서서 역시 조조에게 분노하며 그를 위해 일하지 않음.

서서(徐庶)[한별곡 3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후한 때의 정치가. 유비에게 제갈공명을 천거한 사람. 유비가 조조에게 패하고 서서의 모친이 조조의 포로가 되자, 서서가 유비를 눈물로 작별하고 조조에게 갔던 고사. 가장 슬픈 이별을 말함.

서서(徐庶)[한별곡 4 페이지 / 전적]

자는 원직(元直)이다.출신지는 영천군이며 젊어서 무예에 뛰어났다.그는 학문에도 밝아 형주에 머물던 촉한(蜀漢)의 유비(劉備)를 만나 그의 참모가 되었다.유비에게 제갈량(諸葛亮)을 와룡(臥龍)에 비유하며 천거하였고 유비가 유능한 인재를 모으는데 역할했다.하지만 조조(曹操)가 자신의 어머니를 인질로 잡아갔기 때문에 조조에게 투항해야만 했다.

서석[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41 페이지 / 전적]

「瑞石」― 山 이름인데 全南光州의 鎭山으로 즉 無等山임.

서석( 瑞石)[ 1 페이지 / ]

서석산 곧 무등산에 있는 서석대를 말한다. 무등산은 광주.화순.담양등 3개시군에 걸쳐 있는 해발1,187미터의 광주의 진산이다. 정산 부근에 하늘을 향해 솟은 서석대가 있다. 전라남도도립공원으로 원효사.충장사.풍암정 등 명소와 전설을 많이 갖고 있는 광주의 진산이 곧 무등산이다.

서석(瑞石)[ 1 페이지 / ]

상서로운 바위. 여기서는 광주의 무등산 상봉에 있는 바위를가리킴.‘서석산’은 무등산의 딴 이름이다.

서석(瑞石)[성산별곡 3 페이지 / 전적]

상서로운 돌. 광주 무등산 마루에 있는 서석대(瑞石臺).

서석과 입석[석촌별곡 3 페이지 / 전적]

무등산의 서석대(瑞石臺)와 입석대(立石臺).

서석산瑞石山[ 1 페이지 / ]

지금의 무등산

서성(徐渻)[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30 페이지 / 전적]

조선 중기의 문신(1558~1631). 자는 현기(玄紀). 호는 약봉(藥峯). 형조ㆍ병서 판서 따위를 지냈다. 이인기(李麟奇) 등과 역학(易學)을 토론하였으며 서화에도 뛰어났다. 문집에 ≪약봉집≫이 있다.

서성대어[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97 페이지 / 전적]

「蹣跚」―施行하는 모양인데 蹁躚과 같은 뜻임.寶泉의 述音賦에 「婆娑蹣跚」이라 했음.

서속(黍粟)[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8 페이지 / 전적]

기장과 조.

서속(黍粟)[오윤가 18 페이지 / 전적]

기장과 조를 아울러 이르는 말.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