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석가노자(釋伽老子)[경화가(警和歌) 15 페이지 / 전적]

동학의 입장에서 석가와 노자를 음의 기운이 생하는 후천의 학으로 바라보고 있음.

석가노자(釋伽老子)[경화가(警和歌) 15 페이지 / 전적]

동학의 입장에서 석가와 노자를 음의 기운이 생하는 후천의 학으로 바라보고 있음.

석가래[회과자책가(悔過自責歌) 7 페이지 / 전적]

서까래를 이르는 말로 마룻대에서 도리 또는 보에 걸쳐 지른 나무이다.그 위에 산자를 얹는다.

석가래(釋迦來)[의향소창가 29 페이지 / 전적]

석가모니 여래의 줄임.

석가래(釋迦來)[리행소챙가 17 페이지 / 전적]

석가모니 여래의 줄임.

석가산(石假山)[로인가 15 페이지 / 전적]

정원 따위에 돌을 모아 쌓아서 조그마하게 만든 산.

석가세존(釋迦世尊)[자책가(가) 10 페이지 / 전적]

석가모니를 높여서 이르는 말.

석가세존(釋迦世尊)[가야희인곡 8 페이지 / 두루마리]

석가모니를 높여 이르는 말.

석가여래(釋迦如來)[자탄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석가모니를 신성하게 부르는 말.

석가여래(釋迦如來)[송구영신가권지일(送舊迎新歌卷之一) 15 페이지 / 전적]

고대 인도의 종교 지도자로, 불교의 창시자이다. 진리를 깨달은 자라는 의미에서 석가모니(釋迦牟尼)라고 불리고, 줄여서 석가(釋迦)라고도 한다.

석가여래(釋迦如來)[백발가(白髮歌) 9 페이지 / 전적]

석가모니를 신성하게 이르는 말.

석가여래(釋迦如來)[서가여래가사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석가모니(釋迦牟尼). 석가모니 부처님이 대승 불교에서는 주로 진리를 체득하여 이 세상에 왔다는 의미로 사용됨. 아울러 여래는 부처의 위대함을 나타내는 열 가지 칭호인 불십호(佛十號)의 첫째 명침임.

석가여래(釋迦如來)[서가여래가사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석가모니(釋迦牟尼). 석가모니 부처님이 대승 불교에서는 주로 진리를 체득하여 이 세상에 왔다는 의미로 사용됨. 아울러 여래는 부처의 위대함을 나타내는 열 가지 칭호인 불십호(佛十號)의 첫째 명침임.

석각(石角)[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8 페이지 / 전적]

돌의 뾰족 나온 모서리.

석간(石澗)[무제(어와규중 번님내야) 3 페이지 / 두루마리]

돌이 많은 산골짜기를 흐르는 시내.

석간적(石間炙)[한흥가라 75 페이지 / 전적]

조포(造脯)로, 맷돌로 콩을 갈아 만든 일종의 두부 부침.

석간적(石間炙)[한흥가라 75 페이지 / 전적]

조포(造脯)로, 맷돌로 콩을 갈아 만든 일종의 두부 부침.

석간적(石間炙)[한흥가라 75 페이지 / 전적]

조포(造脯)로, 맷돌로 콩을 갈아 만든 일종의 두부 부침.

석거(石渠)[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90 페이지 / 전적]

「石渠」-閣名임。三輔黃圖에 「石渠閣은 蕭何가 지은 것으로 그 아래는 龍石爲渠하여 물을 인도하게 되였는데 지금 御溝와 같다。因하여 閣名을 만들고 入關時에 얻은 秦의 圖籍을 收藏하였으며 成帝때에 와서는 또 여기에 秘書를 藏置하였다」라 하였음。

석거이[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5 페이지 / 두루마리]

‘삼가’의 잘못인 듯.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