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석전(石田)[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19 페이지 / 전적]
돌이 많은 자갈밭.
석전(石田)[거사가 5 페이지 / 전적]
돌밭. 돌이 많은 척박한 밭. 또는 쓸모없는 것의 비유.
석전(石田)[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12 페이지 / 두루마리]
돌이 많은 밭.
석전(石田)[차운 19 페이지 / 전적]
돌이 많은 거친 밭.
석전(石田)[상사가라 10 페이지 / 전적]
돌이 많은 거친 밭.
석전(石田)[회츈가라 1 페이지 / 전적]
돌이 많은 거친 밭.
석전일[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37 페이지 / 전적]
「釋奠」― 饌과 술을 마련하여 先聖先師에게 祭하는 것을 말함. 禮記 文王世子에 「凡學 春官釋奠于其先師 秋冬亦如之 凡始入學者 必釋奠于先聖先師」라 했음. 우리나라에서 仲春 中秋의 上丁日에 先聖 先師에게 祭奠을 올리는데, 이는 곧 古代 釋奠의 제도를 沿用하는 것임. 釋奠은 牲幣가 있고 合樂이 있음.
석정[감별곡 7 페이지 / 두루마리]
석전(石田)을 ‘석정’으로 잘못 표기한 듯함.
석정(石亭)[ 1 페이지 / ]
식영정 근처에 있었던 평상 모양의 넓적한 바위. 이와는 달리[창평읍지] 의 산천조를 보면, 현의 남쪽 15리 거리에 있는데 땅에 붙어 있는 넓은바위에 사람이 50명은 앉을 수 있다고 하면서, 반석천盤石川을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석정은 반석천에 있었던 넓은 바위를 말하거나, 소쇄원에 있는 광석廣石을 지칭하는 듯하다.
석정(石亭)[석천집(石川集二-五)2-5 99 페이지 / 전적]
여름에 정자 역할을 하는 시원한 돌 언덕. 임억령은 담양의 남면(南面)에 있는 성산(星山)에 우거하면서 <식영정 이십영(息影亭二十詠)>을 지은 바 있는데, 그중에는 <석정 납량(石亭納凉)>의 시가 있다.
석정石井[ 1 페이지 / ]
돌을 쌓아서 만든 연못. 돌샘.
석정노[한양가라 60 페이지 / 전적]
미상.
석정련[석천집(石川集二-二)2-2 199 페이지 / 전적]
<석정연구시(石鼎聯句詩)>를 가리키는데, 미명옹은 이 시를 지은 한유를 가리킨다.
석죽(夕粥)[고분가 6 페이지 / 전적]
저녁 죽.
석죽(夕粥)[고분가 6 페이지 / 전적]
저녁 죽.
석죽화 (石竹花)[화조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패랭이꽃(석죽과의 여러해살이풀).
석찬 (夕餐)[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23 페이지 / 전적]
「夕餐」-椘辭에「夕餐秋菊之落英」이라는 구가 있음.
석채(釋菜)[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02 페이지 / 전적]
芹藻의 屬으로 先師에게 禮∝하는 것을 이름. 禮記文王世子에 「始立學者 旣∝器用幣 然後釋菜」라 하였음. 옛날에는 비로소 入學하면 다 釋菜의 禮를 生하고 春秋二祭에는 다 釋奠의 禮를 썼음.
석척혈(石擲穴)[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7 페이지 / 전적]
돌로 된 관곽 같은 형상.
석촌음(惜寸陰)[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7 페이지 / 전적]
촌음을 아껴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