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석양천(夕陽川)[초한가라 9 페이지 / 전적]

석양이 비추이는 냇가.

석양황혼(夕陽黃昏)[추월감 2 페이지 / 두루마리]

해질 무렵. 저녁 때.

석연(夕煙)[후원초당 봄이듯이 2 페이지 / 두루마리]

저녁밥을 지을 때 나는 연기.

석연(石燕)[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80 페이지 / 전적]

「石燕」- 巖名인데 滁上에 있음.

석연기(夕煙氣)[북쳔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저녁 연기.

석연기(夕煙氣)[북쳔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저녁밥을 지을 때에 나는 연기.

석와(石窪)[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34 페이지 / 전적]

「石窪」 ― 窪는 맑은 물을 말함. 說文에 보임.

석왕사[팔역가(八域歌) 10 페이지 / 전적]

함경남도 안변의 설봉산에 있는 사찰로 무학대사가 창건

석웅황(石雄黃)[쥭매곡(쥭곡) 3 페이지 / 전적]

안료의 일종. 천연으로 나는 비소의 화합물. 빛깔을 등황색(橙黃色) 또는 황색임.

석인[석천집(石川集二-五)2-5 21 페이지 / 전적]

최호(崔顥)의 황학루(黃鶴樓)시에 나오는 말인데 <옛사람은 황학을 타고 가버렸고 이땅에는 공연히 황학루만 남았네>란 구가 있다.

석인[석천집(石川集二-五)2-5 34 페이지 / 전적]

시경(詩經)의 위풍(衛風)에 나오는 석인(碩人)편. 어진 사람이 계곡에 은거하면서도 크고 관대하여 근심이 없음으로 즐거움을 삼는다는 내용이다.

석인[석천집(石川集二-五)2-5 87 페이지 / 전적]

시경(詩經) 위풍(衛風) 석인(碩人)장에 나온 말. 어진 사람이 시냇가 골짜기에 은거하여 살면서 크고 넓어서 근심하는 뜻이 없음을 찬미한 내용이다

석인(碩人)[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42 페이지 / 전적]

「碩人」-詩經 衛風 碩人을 이름인데 莊姜의 腎을 노래한 것임.

석일(昔日)[운청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지난 날.

석일(昔日)[별한가 11 페이지 / 전적]

옛날. 이미 많은 세월이 지난 오래전 때.

석장(錫杖)[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48 페이지 / 전적]

「飛錫」―僧徒가 西方에 노니는 것을 이름. 釋氏要覽에「今僧遊行 嘉稱飛錫 此因高僧隱峯 遊五臺 出淮西 擲錫杖 飛空而往也 若西天得道僧 往來多是飛錫」이라 하였음.

석장(錫杖)[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56 페이지 / 전적]

「錫杖」-僧杖을 말함 見上

석장(錫杖)[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40 페이지 / 전적]

「錫杖」-僧侶의 禪杖을 말함. 見上

석재탁마(石材琢磨)[금강산유람가 14 페이지 / 두루마리]

돌과 재목을 쪼고 갈아서 다듬음.

석전[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40 페이지 / 전적]

「釋奠」-神前에 잔을 올리고 제사함을 이름. 禮記 文王世子에「凡學 春夏釋奠于其先師 秋冬亦如之 凡始入學者 必釋奠于先聖先師」라 하였음. 釋은 捨의 뜻임.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