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서사(書史)[석천집(石川集二-五)2-5 158 페이지 / 전적]

경서(經書)와 사서(史書). 서적(書籍).

서사(書史)[대동가(동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경서(經書)와 사기(史記)를 아울러 이르는 말.

서사(誓詞)[사향곡(향곡) 6 페이지 / 전적]

맹세하는 말.서언(誓言).

서산[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42 페이지 / 전적]

「名並夷叔」―殷나라 伯夷 叔齊를 말함. 伯夷의 姓은 墨胎요 이름은 允이요, 字는 公信이며 叔齊의 이름은 智요 字는 公達인데 孤竹君의 두 아들이다. 殷나라가 亡하고 周가 代立하자, 夷齊는 의리상 周粟을 먹지 아니하고 西山에 올라 採薇하다가, 마침내 餓死하였음. 名並은 孤竹國을 들어 말한 것임.

서산 진선생(西山 眞先生)[송강집(松江集一)1 118 페이지 / 전적]

이름은 덕수(德秀)임.

서산(西山)[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21 페이지 / 전적]

「西山薇」―伯夷 叔薺의 故事를 말함.

서산(西山)[허후전가라 10 페이지 / 두루마리]

서쪽에 있는 산.

서산나귀[시절가 25 페이지 / 전적]

보통 나귀보다 체구가 조금 큰 중국산 나귀.

서산낙일(西山落日)[상사진정몽가(相思陳情夢歌) 3 페이지 / 전적]

서산에 지는 해.

서산낙일(西山落日)[시절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서산에 지는 해.

서산낙일(西山落日)[백발가(白髮歌) 9 페이지 / 전적]

서산에 해가 떨어짐. 황혼의 비유. 또는 세력이나 힘 따위가 기울어져 멸망하게 된 판국을 이르는 말.

서산낙일(西山落日)[이회심곡(二回心曲) 5 페이지 / 전적]

서산에 지는 해.

서산낙일(西山落日)[헌수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서산에 해가 떨어짐.

서산낙일(西山落日)[반졀퓨리 4 페이지 / 전적]

서산에 지는 해.

서산대사[역대삼재가라 10 페이지 / 전적]

휴정(休靜1520~1604)임진왜란 때 승병장. 유(儒)·불(佛)·도(道)는 궁극적으로 일치한다고 주장, 삼교통합론(三敎統合論)의 기원을 이루어 놓았다.

서산대사(西山大師)[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11 페이지 / 전적]

조선 선조 때의 승려 청허휴정(淸虛休靜, 1520~1604).

서산대사(西山大師)[한흥가라 107 페이지 / 전적]

휴정대사(休靜大師). 조선 선조 때의 승려(1520~1604). 속성(俗姓)은 최(崔). 자는 현응(玄應). 법호는 청허(淸虛)ㆍ서산(西山). 임진왜란 때 승병(僧兵)의 총수가 되어 서울을 수복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유(儒)ㆍ불(佛)ㆍ도(道) 3교 통합설의 기반을 마련하고 교종(敎宗)을 선종(禪宗)에 포섭하였다. 저서에 ≪청허당집≫, ≪선가귀감≫ 따위가 있다.

서산대사(西山大師)[갑지녹이라 1 페이지 / 전적]

1520(중종 15)~1604(선조 37). 조선 중기의 승려․승병장, 속명은 최여신(崔汝信).

서산대사(西山大師)[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3 페이지 / 전적]

휴정대사(休靜大師)의 다른 이름. 조선 선조 때의 승려(1520~1604). 속성(俗姓)은 최(崔). 자는 현응(玄應). 법호는 청허(淸虛)ㆍ서산(西山). 임진왜란 때 승병(僧兵)의 총수가 되어 서울을 수복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유(儒)ㆍ불(佛)ㆍ도(道) 3교 통합설의 기반을 마련하고 교종(敎宗)을 선종(禪宗)에 포섭하였다. 저서에 ≪청허당집≫, ≪선가귀감≫ 따위가 있다.

서산진선생(西山眞先生)[송강집(松江集三)3 73 페이지 / 전적]

송(宋)나라의 유명한 학자 진덕수(眞德秀)임.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