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생장고(生長苦)[말이타국원별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나서 자라나는 과정의 고생.
생전(生全)[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06 페이지 / 전적]
「生全」-全而生之 全而歸之의 略稱인데 위에 나타나 있음。
생전(生前)[자탄가 14 페이지 / 두루마리]
살아있는 동안.
생전공양(生前供養)[충효가(忠孝歌) 12 페이지 / 전적]
(부모님) 살아계실 때 봉양함을 말함.
생전부귀(生前富貴)[자책가(가) 10 페이지 / 전적]
① 살아있는 동안의 부귀. ② ‘부귀는 죽으면 그만임’을 가리킴.
생전사후(生前死後)[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45 페이지 / 전적]
살아계실 때나 돌아가실 때나.
생전소회(生前所懷)[초한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생전에 품고 있던 마음의 회포.
생전소회(生前所懷)[초한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생전에 품고 있던 마음의 회포.
생조(生祖)[신도가(臣道歌) 10 페이지 / 전적]
할아버지 또는 선조.
생조(生祖)[혼례가(婚禮歌) 2 페이지 / 전적]
할아버지 또는 선조.
생조에 일어나서 자탄하고 한심하니[자탄가 자탄이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전쟁으로 인하여 회갑일을 챙길 수 없는 상황이었을 것으로 짐작됨.
생즉 동주(生則同住)[과부가(寡婦歌) 2 페이지 / 전적]
살아서는 남편과 아내가 같은 곳에서 함께 거주함.
생즉동침(生卽同寢)[고분가 26 페이지 / 전적]
살아있을 때에는 잠자리를 함께하여야 한다.
생즉동침(生卽同寢)[고분가 26 페이지 / 전적]
살아있을 때에는 잠자리를 함께하여야 한다.
생지(生知)[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55 페이지 / 전적]
「生困知」- 中庸에 「或生而知之 或學而知之 或困而知之 及其知之一也 或安而行之 或利而行之 或勉而行之 及其成功一也」하였음.
생지(生知)[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43 페이지 / 전적]
「生知困知」-中庸에『或生而知之 或學而知之 或困而知之 及其知之一也』라 하였음.
생지살지(生之殺之)[망부가 20 페이지 / 전적]
삶과 죽음.
생지살지(生知殺知)[무제(▩▩▩▩) 5 페이지 / 두루마리]
살리고 죽임.
생지살지(生知殺知)[무제(▩▩▩▩) 5 페이지 / 두루마리]
살리고 죽임.
생질(甥姪)[환행가 33 페이지 / 두루마리]
누이의 아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