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서루(書樓)[황남별곡(黃南別曲) 4 페이지 / 전적]

서재(書齋)로 쓰거나 책을 넣어 두는 다락.

서릉씨(西陵氏)[녁대가(녁가) 10 페이지 / 전적]

양잠(養蠶)하는 법을 시작하였다는 신(神). 선잠(先蠶).

서리[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27 페이지 / 전적]

「霜露墜」 ― 어느 지방이고 다 미친다라는 말임. 中庸에 「天之所覆 地之所載 日月所照 霜露所墜」가 있음

서리 추풍(秋風)[한흥가라 10 페이지 / 전적]

흰빛의 서릿발이 내리는 가을바람.

서리 추풍(秋風)[한흥가라 10 페이지 / 전적]

흰빛의 서릿발이 내리는 가을바람.

서리 추풍(秋風)[한흥가라 10 페이지 / 전적]

흰빛의 서릿발이 내리는 가을바람.

서리(書吏)[옥단춘전이라 33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중앙 관아에 속하여 문서의 기록과 관리를 맡아보던 하급의 구실아치.

서리(黍離)[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9 페이지 / 전적]

「黍離」- 王風의 章名임. 周가 東遷한 뒤에 大夫가 故都를 지나면서 슬퍼하여 지은 詩임.

서리김[ 1 페이지 / ]

서릿김. 서리가 내린 기운.

서리바람 마글소야[위옥자회가라(위옥과회가라) 3 페이지 / 전적]

서리바람 막을 소냐. 찬 바람 막을 소냐.

서린(徐麟)[송강집(松江集三)3 14 페이지 / 전적]

陳書에 서린(徐麟)의 모(母) 장씨(臧氏)가 꿈에 오색 구름이 화해서 봉(鳳)이 되어 왼 어깨 위에 앉더니 이윽고 서린을 낳았다. 그 뒤에 중〔僧〕보지(寶誌)가 그 이마를 만지며 이는 천상의 석기린(石麒麟)이라 일렀다 하여음.

서림[초한가라 17 페이지 / 전적]

(기운 같은 것 등이) 서리다.

서립(序立)[신정도덕가 4 페이지 / 전적]

차례로 서 있음.

서립(序立)[명궁처아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차례대로 늘어섬.

서명(西銘)[송강집(松江集二)2 152 페이지 / 전적]

횡거선생(橫渠先生)이 지은 서쪽 서재(書齋)의 명(銘).

서명(西銘)[송강집(松江集四)4 58 페이지 / 전적]

송(宋)나라 때의 학자 장재(張載)가 서재(書齋) 서쪽 창에 걸어놓은 명(銘).

서명(西銘)[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27 페이지 / 전적]

宋 張載의 撰으로 學堂의 雙牖에 書하여 左는 砭愚요 右는 訂頑이라 했는데 程子 가 고쳐서 東銘, 西銘으로 하였음. 西銘은 곧 訂頑임. 그 大旨를 들면 天地萬物이 나와 더불어 同體임을 말하여 學者의 求仁하는 마음을 啓發하였음.

서명(西銘)[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10 페이지 / 전적]

중국 송(宋)나라의 성리학자 장재(張載 : 1020~1077)가 지은 서재(書齋)의 서쪽 창에 걸어놓은 명(銘). 원명은 정완(訂頑)이었는데, 그와 동시대 사람인 정이(程?)의 충고에 의하여 서명이라고 고쳤음. ‘폄우(貶愚)’라는 원명을 가진 동명(東銘)과 함께 그의 문집에 수록되었는데, 유교의 기본 윤리인 인(仁)의 도리를 설명한 글로 중국 철학사상 중요한 논문의 하나.

서명(西銘)[문슈동소챵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책이름. 중국 북송시대의 사상가. 장횡거(張橫渠)가 지은 책.

서명(西銘)[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10 페이지 / 전적]

중국 송(宋)나라의 성리학자 장재(張載 : 1020~1077)가 지은 서재(書齋)의 서쪽 창에 걸어놓은 명(銘). 원명은 정완(訂頑)이었는데, 그와 동시대 사람인 정이(程?)의 충고에 의하여 서명이라고 고쳤음. ‘폄우(貶愚)’라는 원명을 가진 동명(東銘)과 함께 그의 문집에 수록되었는데, 유교의 기본 윤리인 인(仁)의 도리를 설명한 글로 중국 철학사상 중요한 논문의 하나.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