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생육(生育)[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1 페이지 / 두루마리]

낳고 길러주심.

생육(生育)[회혼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낳아서 기름.

생육(生育)[효행가(孝行歌) 4 페이지 / 전적]

낳아서 기름.

생육부모(生育父母)[추월감 8 페이지 / 두루마리]

부모님께서 나를 낳아주시고 길러주심.

생육부모(生育父母)[칠녀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낳고 키워주신 부모님.

생육부모(生育父母)[말이타국원별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자기를 낳아서 길러준 부모.

생육신(生六臣)[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94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세조가 단종으로부터 왕위를 빼앗자 벼슬을 버리고 절개를 지킨 여섯 신하, 이맹전, 조여, 원호, 김시습, 성담수, 남효온 또는 권절을 이른다.

생은 기야오 사는 귀야라[초씨션원쳥음가 10 페이지 / 전적]

생기사귀(生寄死歸). 사람이 이 세상에 사는 것은 잠시 머무는 것일 뿐이며 죽는 것은 원래 자기가 있던 본집으로 돌아가는 것임을 이르는 말.

생이별(生離別)[추월감 8 페이지 / 두루마리]

살아서 헤어짐.

생이별(生離別)[이화가젼 5 페이지 / 전적]

살아 있는 혈육이나 부부간에 어쩔 수 없는 사정으로 헤어짐.

생이별(生離別)[이화가젼 5 페이지 / 전적]

살아 있는 혈육이나 부부간에 어쩔 수 없는 사정으로 헤어짐.

생이별(生離別)[이별가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부부나 부모 자식, 또는 형제 사이에서 어쩔 수 없는 사정으로 만날 기약 없이 헤어지는 것. 여기서는 이곳 가사의 제목에 보인 ‘이별’의 성격을 구체적으로 드러낸 표현임.

생이별(生離別)[낙향이별가 5 페이지 / 전적]

살아있는 혈육이나 부부간에 어쩔 수 없는 사정으로 헤어짐.

생이사별(生離死別)[삼한가라(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생사이별(生死離別).

생이사별(生離死別)[셔유곡 21 페이지 / 전적]

살아서도 헤어지고 죽어서도 이별함.

생이신령(生而神灵)[구궁환정구구가(九宮還定九九歌) 5 페이지 / 전적]

나면서부터 신령이다.

생이지(生而知)[경술가 4 페이지 / 전적]

나면서부터 암. 성인의 경지.

생이지(生而知)[오륜가라 3 페이지 / 전적]

생이지지(生而知之). 태어나면서부터 아는 상태.

생이지(生而知)[오륜가라 3 페이지 / 전적]

생이지지(生而知之). 태어나면서부터 아는 상태.

생이지지(生而知之)[론학가권지일 11 페이지 / 전적]

배우지 않아도 날 때부터 앎.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