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서속(黍粟)[김씨효행가 20 페이지 / 두루마리]
기장과 조를 아울러 이르는 말.
서속(黍粟)밥[한흥가라 52 페이지 / 전적]
기장과 조 따위의 거친 곡식으로 지은 밥.
서속(黍粟)밥[한흥가라 52 페이지 / 전적]
기장과 조 따위의 거친 곡식으로 지은 밥.
서속(黍粟)밥[한흥가라 52 페이지 / 전적]
기장과 조 따위의 거친 곡식으로 지은 밥.
서속(黍粟)밥[한양가라 50 페이지 / 전적]
기장과 조 등의 거친 곡식으로 지은 밥.
서속삼추가절(序屬三秋佳節)[사친가1(思親歌(一)) 9 페이지 / 전적]
절서는 삼추(三秋)에 속한 아름다운 계절. 삼추(三秋) : 가을의 석 달.
서속삼하(序屬三夏)[송구영신가권지일(送舊迎新歌卷之一) 32 페이지 / 전적]
계절이 여름 석 달에 속한다.
서속술[은삭가 8 페이지 / 전적]
‘기장’과 ‘조’로 만든 술. ‘기장’은 볏과의 한해살이 풀. 수수와 비슷한 곡류로 이삭은 가 을에 익음. 열매는 담황색이고 떡 ‧ 술 ‧ 빵 ‧ 과자 등의 원료 및 가축의 사료임.
서속술[은삭가 8 페이지 / 전적]
‘기장’과 ‘조’로 만든 술. ‘기장’은 볏과의 한해살이 풀. 수수와 비슷한 곡류로 이삭은 가 을에 익음. 열매는 담황색이고 떡 ‧ 술 ‧ 빵 ‧ 과자 등의 원료 및 가축의 사료임.
서손(庻孫)[경명가(敬命歌) 8 페이지 / 전적]
서자(庶子)의 아들. 또는 적자의 소실이 낳은 아들.
서손(庻孫)[광애가(廣愛歌) 2 페이지 / 전적]
서자(庶子)의 아들. 또는 적자의 소실이 낳은 아들.
서손자(庶孫子)[해동졍상국회방연(동졍상국회방연) 10 페이지 / 전적]
서자(庶子)의 아들.
서수(西收)[벽천가 10 페이지 / 전적]
음양오행설에서 서쪽이 가을을 뜻하기에 추수(秋收)를 이르는 말.
서숙(敍潚)[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차례차례 빨리.
서숙(敍潚)[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차례차례 빨리.
서승(序陞)[로인가 12 페이지 / 전적]
관직에 있는 햇수에 따라서 품계나 벼슬을 올리던 일.
서시(徐市)[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35 페이지 / 전적]
「徐市」―秦의 方士인데 徐福이라고도 함. 史記 秦始皇紀에『徐市齊人 上書「言海中有三神山 名曰蓬萊, 方丈, 瀛洲 請得齋戒與童南童女求之」於是 遣市 發童南童女數千人 入海求之』라 했음.
서시(徐市)[옥산가라 48 페이지 / 전적]
중국 진(秦)나라 때의 사람(?~?). 진시황의 명으로 동남(童男), 동녀(童女) 3천 명을 데리고 불사약(不死藥)을 구하러 바다 끝 신산(神山)으로 배를 타고 떠났으나 다시 돌아오지 않았다 한다. 서불(徐市).
서시(西施)[거사가 2 페이지 / 전적]
중국 춘추시대 월(越) 나라의 미인.
서시(西施)[쥭매곡(쥭곡) 3 페이지 / 전적]
중국(中國) 춘추시대(春秋時代)의 월(越)나라 미인. 월나라의 왕 구천(句踐)이 오(吳)나라에 망한 뒤, 서시를 오나라 왕 부차(夫差)에게 보냈던 바, 부차가 반하여 국사를 돌보지 아니하여 구천과 범소백(范少佰)의 침공(侵攻)을 받아 망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