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서유자(徐孺子)[석촌별곡 9 페이지 / 전적]

서치(穉). 중국 후한 사람으로, 품행이 고상하여 널리 알려졌다.

서융(西戎)[녁대가(녁가) 24 페이지 / 전적]

예전에, 중국에서 서쪽의 오랑캐라는 뜻으로 서쪽 지방에 사는 민족을 낮잡아 이르던 말. 귀방(鬼方), 험윤(獫狁), 견융(犬戎) 등이 은나라와 주나라 시대에 걸쳐서 나타나 자주 침범하였음. 이후 진(秦)이 견융을 정벌하여 서서히 정복·흡수되었음.

서을서에[효성가라 3 페이지 / 전적]

내용 미상.

서읍주산(西邑主山)[몽즁운동가 7 페이지 / 전적]

니구산. 공자가 태어난 곳.

서읍주산(西邑主山)[몽즁운동가 7 페이지 / 전적]

공자가 태어난 서읍주산이 있었으니 추로의 풍화가 있게 되었다는 뜻.

서읍주산(西邑主山)[용담가라 3 페이지 / 전적]

경주 서쪽 산인 구미산. 대선생 유허비 앞산, 묘지 주산, 용담정 뒷산.

서의(書儀)[송강집(松江集三)3 111 페이지 / 전적]

예경(禮經)의 하나.

서의(逝矣)[황젼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흘러감. 곧 앞의 일월(日月)과 같이 쓰여 세월이 흘러감을 뜻함.

서의하여[벽천가 12 페이지 / 전적]

쓸쓸하여, 처량하여, 엉성하여.

서인(西人)[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3 페이지 / 전적]

조선 선조 때에, 심의겸을 중심으로 하여 동인(東人)과 대립한 당파. 또는 그에 속한 사람. 뒤에 청서ㆍ훈서, 소서ㆍ노서, 노론ㆍ소론, 시파ㆍ벽파 따위로 시기에 따라 여러 갈래로 갈라졌다.

서일(曙日)[리행소챙가 63 페이지 / 전적]

이른 새벽.

서자(庻子)[경명가(敬命歌) 8 페이지 / 전적]

첩의 몸에서 난 아들.

서자(庻子)[광애가(廣愛歌) 2 페이지 / 전적]

첩의 몸에서 난 아들.

서자(庻子)[광애가(廣愛歌) 6 페이지 / 전적]

첩의 몸에서 난 아들.

서자(書字)[답사향곡(답향곡) 6 페이지 / 전적]

간단한 편지.글이나 글자.

서자(逝者)[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74 페이지 / 전적]

「逝者」―물을 말함. 論語 子罕篇에 「子在川上 曰逝者如斯夫不捨晝夜」라 하였음.

서자서아자아(書自書我自我)라[직금가라 16 페이지 / 전적]

‘글은 글대로 나는 나대로’라는 뜻으로, 글은 읽고 있으나 정신은 딴 데에 있음을 이르는 말.

서자천(庶子泉)[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80 페이지 / 전적]

「庶子泉」- 샘 이름인데, 滁上에 있음.

서자탄식(逝者歎息)[황남별곡(黃南別曲) 6 페이지 / 전적]

서자여사(逝者如斯).'논어(論語)' <자한(子罕)> 편에 나오는 말로, 공자(孔子)가 냇가에서 물을 바라보며 한번 지나가면 다시 돌아오지 않는 만물의 무상함을 탄식했다고 함.

서재극(徐載克)[명륜가(明倫歌) 3 페이지 / 전적]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유림.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