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서촉(西蜀)[아림가(娥林歌) 8 페이지 / 전적]
고대 중국(中國)의 진(秦)나라 서쪽에 속해있던 지명.
서출도문(西出都門)[쟝한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서쪽으로 대궐문을 나옴.
서출동류(西出東流)[몽즁운동가 7 페이지 / 전적]
서쪽에서 출발하여 동쪽으로 흐름.
서출양관(西出陽關) 무고인(無故人)하니[슈양가 5 페이지 / 전적]
서쪽으로 양관(陽關)을 나서면 벗이 없으니. 당나라의 시인 왕유(王維)의 시 「송원이사안서(送元二使安西)」의 한 구절. 양관(陽關)은 중국 감숙성(甘肅省) 서부 돈황현(敦煌縣)의 서남쪽에 있던 관문임.
서출양관(西出陽關) 무고인(無故人)하니[반졀퓨리 1 페이지 / 전적]
서쪽으로 양관(陽關)을 나서면 벗이 없으니. 당나라의 시인 왕유(王維)의 시 「송원이사안서(送元二使安西)」의 한 구절. 양관(陽關)은 중국 감숙성(甘肅省) 서부 돈황현(敦煌縣)의 서남쪽에 있던 관문임.
서출양관무고인(西出陽關無故人)[붕우들아춘회굑 2 페이지 / 두루마리]
‘서쪽으로 양관을 나서면 아는 벗도 없다’는 뜻으로, 중국의 시인 왕유(王維)의 <위성곡(渭城曲)>에 나오는 구절임.
서취(書取)[벽천가 4 페이지 / 전적]
받아쓰기.
서탑(徐榻)[석천집(石川集二-一)2-1 66 페이지 / 전적]
徐穉가 陳蕃을 찾아가면 榻을 내려주고 떠나면 걸어버렸다는 고사를 인용한 것
서판서[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0 페이지 / 전적]
서씨 성을 가진 판서(判書)를 말함.
서포옹(西浦翁)[송강집(松江集七)7 144 페이지 / 전적]
김만중(金萬重)의 호(號)
서풍(西風)[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0 페이지 / 전적]
종풍(終風). 서쪽에서 불어오는 바람.
서풍일욕사(西風日欲斜)[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91 페이지 / 전적]
서풍이 부니 해는 서산으로 넘어가려고 하는구나.
서하(書下)[후게가라 8 페이지 / 전적]
임금이 벼슬시킬 사람의 이름을 직접 적어서 내리던 일
서하(棲霞)[츅친서라 10 페이지 / 전적]
노을이 깃들여 있는 세상. 곧 신선이 사는 세계.
서하(西河)[축산별곡 4 페이지 / 전적]
중국 하북성에 있는 물 이름. 황하의 일부.
서하당(棲霞堂)[성산별곡 3 페이지 / 전적]
서하 김성원(棲霞 金成遠)이 지은 정자의 이름.
서해어룡동(誓海漁龍動)[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25 페이지 / 전적]
바다를 두고 맹세하면 고기와 용이 감동하고.
서행(徐行)[삼강오륜가 서 11 페이지 / 전적]
느린 속도로 가는 것.
서행(徐行)[경장가(敬長歌) 3 페이지 / 전적]
사람이나 차가 천천히 감.
서현(婿賢)이면[근혼가(謹婚歌) 4 페이지 / 전적]
사위가 어질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