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서역정(鼠疫貞)[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14 페이지 / 전적]

흑사병, 페스트

서연(書筵)[백세보중(百世葆重 二-二)2-2 8 페이지 / 전적]

왕세자에게 유학의 경전과 사서를 강의하던 교육제도.

서왕(西往)[셔왕가 4 페이지 / 전적]

극락세계(極樂世界)를 말함.

서왕모(西王母[인여가(引轝歌) 13 페이지 / 전적]

옛날 중국에서 받들었던 선녀(仙女). 성(姓)은 양(楊), 이름은 회(回). 주(周)나라 목왕(穆王)이 서촉(西蜀) 곤륜산에 사냥을 가서 서왕모를 만나 요지(瑤池)에서 노닐며 돌아옴을 잊었다 함. 또 한나라 무제(武帝)가 장수(長壽)를 원하고 있을 때 그를 가상히 여기어 하늘에서 선도(仙桃) 일곱 개를 가지고 내려와 무제에게 주었다고 함.

서왕모(西王母[인여가(引轝歌) 13 페이지 / 전적]

옛날 중국에서 받들었던 선녀(仙女). 성(姓)은 양(楊), 이름은 회(回). 주(周)나라 목왕(穆王)이 서촉(西蜀) 곤륜산에 사냥을 가서 서왕모를 만나 요지(瑤池)에서 노닐며 돌아옴을 잊었다 함. 또 한나라 무제(武帝)가 장수(長壽)를 원하고 있을 때 그를 가상히 여기어 하늘에서 선도(仙桃) 일곱 개를 가지고 내려와 무제에게 주었다고 함.

서왕모(西王母[인여가(引轝歌) 13 페이지 / 전적]

옛날 중국에서 받들었던 선녀(仙女). 성(姓)은 양(楊), 이름은 회(回). 주(周)나라 목왕(穆王)이 서촉(西蜀) 곤륜산에 사냥을 가서 서왕모를 만나 요지(瑤池)에서 노닐며 돌아옴을 잊었다 함. 또 한나라 무제(武帝)가 장수(長壽)를 원하고 있을 때 그를 가상히 여기어 하늘에서 선도(仙桃) 일곱 개를 가지고 내려와 무제에게 주었다고 함.

서왕모(西王母)[백발가 3 페이지 / 전적]

중국 신화에 나오는 여선(女仙).

서왕모(西王母)[츅친서라 8 페이지 / 전적]

중국 도교 신화에 나오는 불사(不死)의 여왕이다. 서화(西華)라는 아름다운 땅에 사는 여자 정령들을 관리했고, 그녀의 명성 때문에 주목받지 못한 남편 목공(木公)은 동화(東華)의 남자 정령들을 감시했다.

서왕모(西王母)[거사가 2 페이지 / 전적]

중국 신화에 나오는 신녀(神女)의 이름. 불사약을 가진 선녀라고 함.

서왕모(西王母)[상사진정몽가(相思陳情夢歌) 1 페이지 / 전적]

중국 신화에 나오는 신녀(神女)의 이름. 불사약을 가지고 있는 선녀라고 함.

서왕모(西王母)[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94 페이지 / 전적]

「西王母」―古代의 女仙임.穆天子傳에 「吉日甲子 天子賓干西王母」라 했고 그 註에 「西王母 如人虎齒 蓬髮戴勝 善嘯」라 했음.

서왕모(西王母)[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30 페이지 / 전적]

「王母桃」- 女仙 西王母를 말함. 武帝內傳에「七月七日 西王母降 以仙桃四顆與帝 帝食輒收其核 欲種之 母曰 此桃三千年一生實 中夏地薄 種之不生 帝乃止」라 하였음.

서왕모(西王母)[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40 페이지 / 전적]

「西王女」―古代의 女仙임. 漢武故事에「漢時東都獻短人 呼東方朔至 短人因指朔 謂上曰 西王母種桃 三千年一結子 此兒不良巳三過偸之」라 하였음.

서왕모(西王母)[무제(어와규중 번님내야) 4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신화시대 곤륜산(崑崙山)에 살았다는 반인반수(半人半獸)의 여자 선인(仙人).

서왕모(西王母)[해동졍상국회방연(동졍상국회방연) 13 페이지 / 전적]

중국 고대 신화 속에 등장하는 선녀(仙女).

서왕모(西王母)[봉션화가 2 페이지 / 전적]

중국 고대 신화 속에 등장하는 선녀(仙女).

서왕모(西王母)[제삼별회심곡(第三別囬心曲) 11 페이지 / 전적]

선녀(仙女)의 이름. 한무제(漢武帝)가 장수(長壽)를 빌고 있을 때 서왕모가 선도(仙桃) 7개를 가지고 내려와 무제에게 주었다고 함.

서왕모(西王母)[서가여래가사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신화에 나오는 여선(女仙). 곤륜산(崑崙山)에 살며, 불사약(不死藥)을 가졌다고 함.

서왕모(西王母)[무제(▩▩▩▩) 13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신화에 나오는 신녀(神女)의 이름.

서왕모(西王母)[무제(고하매) 4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신화에 나오는 신녀(神女)의 이름. 불사약을 가진 선녀.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