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서재는 해대에[석천집(石川集二-二)2-2 202 페이지 / 전적]
순임금 때의 12주 가운데 하나인데, 동해에서 태산 사이에 있었다. 청주라고도 했는데, 지금의 산동성 일대이다. 서재는 해대에 임하였고
서재필(徐載弼)[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57 페이지 / 전적]
독립운동가ㆍ정치가(1864~1951). 호는 송재(松齋). 김옥균 등과 일으킨 갑신정변의 실패로 일본과 미국에서 망명 생활을 하였다. 후에 귀국하여 독립 협회를 조직하고, 우리나라 최초의 민간 신문인 ≪독립신문≫을 발간하였다.
서적(西賊)[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46 페이지 / 전적]
홍경래의 난을 뜻함.
서적(西賊)[몽중노소문답가(夢中老少問答歌) 5 페이지 / 전적]
순조 때 서도인 평안도의 가산(嘉山)에서 난을 일으켜 정주(定州)에서 패망한 홍경래 일당을 말함.
서전(書傳[인여가(引轝歌) 5 페이지 / 전적]
중국 송나라 때에, 주희의 제자 채침(蔡沈)이 『서경(書經)』에 주해를 달아 편찬한 책. 10책.
서전(書傳[인여가(引轝歌) 5 페이지 / 전적]
중국 송나라 때에, 주희의 제자 채침(蔡沈)이 『서경(書經)』에 주해를 달아 편찬한 책. 10책.
서전(書傳[인여가(引轝歌) 5 페이지 / 전적]
중국 송나라 때에, 주희의 제자 채침(蔡沈)이 『서경(書經)』에 주해를 달아 편찬한 책. 10책.
서전(書傳)[옥설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송나라 때에, 주희의 제자 채침(蔡沈)이 『서경』에 주해를 달아 편찬한 책. 10책.
서절구투(鼠窃狗偸)[이십사룡입수(二十四龍入首) 9 페이지 / 전적]
쥐가 훔쳐가고 개가 훔쳐간다. 알게 모르게 훔쳐간다는 뜻.
서절구투(鼠竊狗偸)[거창가 4 페이지 / 전적]
쥐나 개와 같은 좀도둑을 말함.
서절구투(鼠竊狗偸)[조심가라 27 페이지 / 전적]
쥐나 개처럼 가만히 물건을 훔친다는 뜻, 즉 좀도둑을 욕하여 이르는 말.
서절구투(鼠竊狗偸)[거창가 4 페이지 / 전적]
쥐나 개와 같은 좀도둑을 말함.
서절구투(鼠竊狗偸)[조심가라 27 페이지 / 전적]
쥐나 개처럼 가만히 물건을 훔친다는 뜻, 즉 좀도둑을 욕하여 이르는 말.
서절구투(鼠竊狗偸)[거창가라 10 페이지 / 전적]
쥐나 개처럼 몰래 물건을 훔친다는 뜻으로,
서절구투(鼠竊狗偸)[아림가(娥林歌) 11 페이지 / 전적]
쥐나 개처럼 몰래 물건을 훔친다는 뜻으로, '좀도둑'을 이르는 말.
서절구투(鼠竊狗偸)[가사소리 28 페이지 / 전적]
쥐나 개처럼 몰래 물건을 훔친다는 뜻으로, '좀도둑'을 이름.
서제(西帝)[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복희(伏犧)와 같은 시대에 살았던 전설상의 인물.
서제(西帝)[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복희(伏犧)와 같은 시대에 살았던 전설상의 인물.
서종제(徐宗悌)[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39 페이지 / 전적]
조선 숙종 때의 문신(1656~1719)으로 1724년 영조가 즉위하여 딸이 정성왕후(貞聖王后)가 되자 영의정에 추증(追贈), 달성부원군(達城院君)에 추봉(追封)되었음.
서주(徐酒)[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10 페이지 / 전적]
後漢書 徐穉傳에 「朋知가 死喪이 있으면 負∝赴吊하므로 노상집에 닭한마리를 미리 구어두고 一兩의 綿絮를 술에 적시어 그 絮를 暴乾하여 닭을 싸가지고 所赴의 ∝∝밖에 가서 물에다 絮를 담궈 酒氣가 있게한 다음 白茅를 깔고 닭을 앞에 놓고 술을 올리고서 喪主도 보지 않고 갔다」라 하였음. 흔히 後人의 吊祭의 文 隻雞絮酒를 쓰는데 이에 起因된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