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주부자(朱夫子)[대명복수가(명복수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주자(朱子).
주부자(朱夫子)[녁대가(녁가) 61 페이지 / 전적]
중국 송나라의 유학자 주희(朱熹, 1130~1200). 자는 원회(元晦)ㆍ중회(仲晦). 호는 회암(晦庵)ㆍ운곡산인(雲谷山人). 도학(道學)과 이학(理學)을 합친 이른바 송학(宋學)을 집대성하였음. 주자(朱子)라고 높여 부르며, 학문을 주자학이라고 함.
주불급유령(酒不及劉伶) 분상토(墳上土[인여가(引轝歌) 15 페이지 / 전적]
술이 유령의 무덤 봉토에는 이르지 못하였음.
주불급유령(酒不及劉伶) 분상토(墳上土[인여가(引轝歌) 15 페이지 / 전적]
술이 유령의 무덤 봉토에는 이르지 못하였음.
주불급유령(酒不及劉伶) 분상토(墳上土[인여가(引轝歌) 15 페이지 / 전적]
술이 유령의 무덤 봉토에는 이르지 못하였음.
주사야탁(晝思夜度)[백발가(白髮歌) 5 페이지 / 전적]
밤낮으로 깊이 생각하고 헤아림.
주사야탁(晝思夜度)[로인가 5 페이지 / 전적]
밤낮으로 깊이 생각함.
주사야탁(晝思夜度)[타미계라(라미키라) 4 페이지 / 전적]
밤낮으로 깊이 생각하고 헤아림.
주사야탁(晝思夜度)[타미계라(라미키라) 4 페이지 / 전적]
밤낮으로 깊이 생각하고 헤아림.
주사청루(酒肆靑樓)[명륜가(明倫歌) 98 페이지 / 전적]
술집과 기생집.
주산[옥룡자이기론 56 페이지 / 전적]
혈을 맺게 해주는 혈 뒤쪽에 높게 솟은 산을 일컫는다
주산(主山)[옥셜화답 7 페이지 / 전적]
도읍, 집터, 무덤 따위의 뒤쪽에 있는 산. 혹은 풍수지리에서 묏자리나 집터 따위의 운수 기운이 매였다는 산.
주산(主山)[조심가라 14 페이지 / 전적]
도읍, 집터, 무덤 따위의 뒤쪽에 있는 산.
주산(主山)[조심가라 14 페이지 / 전적]
도읍, 집터, 무덤 따위의 뒤쪽에 있는 산.
주산(主山)[평지행룡(平地行龍) 1 페이지 / 전적]
북쪽의 높은 산. 혈(穴)뒤에 높이 솟은 산.
주산(主山)[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1 페이지 / 전적]
북쪽의 높은 산. 혈(穴)뒤에 높이 솟은 산.
주산(主山)[옥설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집이나 궁궐을 지을 때에 그 후측(後側)에 놓여있는 산봉우리.
주산(主山)[춘몽가(츈몽가) 20 페이지 / 전적]
전한의 제7대 황제(재위 기원전 141년 ~ 기원전 87년)인 유철(劉徹).아명은 체(彘)이며 자는 통(通).묘호는 세종(世宗), 시호는 효무황제(孝武皇帝).경제의 열번째 아들이며 효경황후 왕지(孝景皇后 王娡)의 소생.유학을 바탕으로 하여 국가를 다스렸으며 해외 원정을 펼쳐 흉노, 위만조선 등을 멸망시켜 당시 중국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를 만들어 전한의 전성기를 엶.위만조선을 멸망시키고 한반도(韓半島)에 한사군 또는 한군현을 설치.중국 역사상 진 시황제와 강희제 등과 더불어 중국의 가장 위대한 황제 중 한 사람.
주산(主山)[거창가라 5 페이지 / 전적]
① 도읍, 집터, 무덤 따위의 뒤쪽에 있는 산.② 풍수지리에서, 묏자리나 집터 따위의 운수 기운이 매였다는 산.
주산(主山)[아림가(娥林歌) 5 페이지 / 전적]
① 도읍, 집터, 무덤 따위의 뒤쪽에 있는 산. ② 풍수지리에서, 묏자리나 집터 따위의 운수 기운이 매였다는 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