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주류무체(周流無滯)[황남별곡(黃南別曲) 4 페이지 / 전적]
두루 흘러서 막힘이 없음.
주류사방(周流四方)[명륜가(明倫歌) 85 페이지 / 전적]
두루 사방을 떠돎.
주류사해(周流四海)[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7 페이지 / 전적]
온 세상을 두루 돌아다님.
주류사해(周流四海)[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7 페이지 / 전적]
온 세상을 두루 돌아다님.
주류하(周流河)[연행별곡(연별곡) 14 페이지 / 전적]
현재의 요하(遼河).당시에는 거류하(巨流河)라고도 불림.
주륜[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211 페이지 / 전적]
바퀴에 붉은 칠을 한 수레로 한 나라 때 존귀한 사람들이 탄것임. 《漢書 李尋傳》에 ‘장군(將軍)의 한 가문에서만 후(侯)와 20대의 주륜을 보유했으니, 한 나라가 일어난 이래로 이렇게 귀했던 신자(臣子)는 일찍이 없었다.‘ 하였음.
주리[부모가훈계하는가사(부모가훈게하는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죄인의 두 다리를 묶고 그 틈에 두 개의 주릿대를 끼우고 비틀던 형벌.
주리[별한가 6 페이지 / 전적]
죄인의 두 다리를 한데 묶고 다리 사이에 두 개의 주릿대를 끼워 비트는 형벌.
주린배를[자탄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배고픈 배를.
주마(走馬)[한별곡 31 페이지 / 전적]
말을 타고 달림.
주마가편(走馬加鞭)[사친가2(思親歌(二)) 13 페이지 / 전적]
달리는 말에 채찍질을 한다는 뜻으로, 열심히 하는 사람을 더욱 잘하도록 권장함.
주마가편(走馬加鞭)[고분가 5 페이지 / 전적]
달리는 말에 채찍질한다는 뜻으로 잘하는 사람을 더욱 장려함을 이르는 말.
주마가편(走馬加鞭)[고분가 5 페이지 / 전적]
달리는 말에 채찍질한다는 뜻으로 잘하는 사람을 더욱 장려함을 이르는 말.
주마산[황젼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주마간산(走馬看山)’의 줄임말. 말을 타고 달리며 산천을 구경한다는 뜻으로, 자세히 살피지 아니하고 대충대충 보고 지나감을 이르는 말.
주마탈안(走馬脫鞍)[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4 페이지 / 전적]
말이 여울물로 뛰어드는 형상.
주마편[용문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주마가판(走馬加鞭). 달리는 말에 채찍질을 하여 더 빨리 달리게 함.
주망(酒妄)[이십사룡입수(二十四龍入首) 34 페이지 / 전적]
술주정뱅이.
주머니[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47 페이지 / 전적]
「倒囊」―있는 것은 다 털어냈다는 말임. 世說賢媛에「王右軍郗夫人 謂二弟司空愔 中郞鑒曰 「王家見二謝 傾筐倒庋 見汝軰平平爾 汝可無煩後徃」』이라 하였음. 倒庋와 倒囊은 義가 같음.
주모자(主謀者)[경노의심곡 8 페이지 / 두루마리]
주장하여 어떤 일이나 음모를 꾸미는 사람.
주목(州牧)[자치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한 고을을 맡아 다스리는 목사(牧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