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주문왕(周文王)[가사애부가(가부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주나라 무왕의 아버지.이름은 창(昌).기원전 12세기경에 활동한 사람으로 은나라 말기에 태공망 등 어진 선비들을 모아 국정을 바로잡고 융적(戎狄)을 토벌하여 아들 무왕이 주나라를 세울 수 있도록 기반을 닦아 주었음.고대의 이상적인 성인 군주의 전형으로 꼽힘.
주문왕(周文王)[백운처사경독가라(운처사경독가라) 3 페이지 / 전적]
중국 주나라의 창건자인 무왕(武王)의 아버지로 강태공의 도움을 받아 덕치(德治)에 힘을 썼다.
주문왕(周文王)[호남가라 1 페이지 / 전적]
중국 주나라의 창건자인 무왕(武王)의 아버지로 강태공의 도움을 받아 덕치(德治)에 힘을 썼다.
주문왕(周文王)[녁대가(녁가) 18 페이지 / 전적]
서백(西伯). 주(周)나라 건국의 기초를 닦은 명군으로 무왕의 아버지임. 그가 죽은 뒤, 아들 무왕이 은(殷)나라를 멸망시키고 주나라를 창건하였으며, 그에게 문왕이라는 시호를 추존하였음.
주문왕(周文王)[춘몽가(츈몽가) 36 페이지 / 전적]
기원전 12세기 중국 주나라(周)의 창건자인 무왕(武王)의 아버지.성은 희(姬).이름은 창(昌).서백(西伯)은 그의 직위임.유리(羑里)라고 불리는 감옥에서 유교의 고전인 주역(周易)의 괘사(卦辭)를 지었으며, 복희 선천 팔괘를 연역(演易)하여 문왕 후천 팔괘를 지었다고 전해지나, 괘사나 효사는 점(占)의 전문가들 사이에서 생겨 고정된 것으로, 후대에 문왕을 찬미하기 위한 서술로 지적됨.
주물상(晝物床)[권학가 7 페이지 / 전적]
귀한 손님을 대접할 때에 간략하게 차려 먼저 내오는 음식상. 가사 원문에서의 “酒物床”은 “晝物床”의 오기로 판단됨.
주물상(晝物床)[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3 페이지 / 두루마리]
귀한 손님을 대접할 때, 간단하게 차려서 먼저 내오는 음식상.
주물상(晝物床)[헌수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귀한 손님을 대접할 때, 간단하게 차려서 먼저 내오는 음식상.
주물상(晝物床)[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3 페이지 / 두루마리]
귀한 손님을 대접할 때, 간단하게 차려서 먼저 내오는 음식상.
주물상(晝物床)[헌수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귀한 손님을 대접할 때, 간단하게 차려서 먼저 내오는 음식상.
주물상(晝物床)[북쳔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귀한 손님을 대접할 때 간략하게 차려 먼저 내오는 상.
주물상(晝物床)[팔도가 9 페이지 / 전적]
귀한 손님을 대접할 때, 간단하게 차려서 먼저 내오는 음식상.
주물상(晝物床)[팔도가 9 페이지 / 전적]
귀한 손님을 대접할 때, 간단하게 차려서 먼저 내오는 음식상.
주물상(晝物床)[북쳔가 13 페이지 / 두루마리]
귀한 손님을 대접할 때, 간단하게 차려서 먼저 내오는 음식상.
주미(酒味)[백발가(白髮歌) 5 페이지 / 전적]
술맛.
주미월계(朱薇月季)[류월정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붉은 장미 계통의 해당화.
주민(酒賓)[헌수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손님에게 술을 대접함.
주발(周勃)[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2 페이지 / 전적]
「周王」- 周勃과 王陵을 말함. 呂氏가 亂을 일으키자 이 두사람이 協力하여 平定하였음.
주백인(周伯仁)[송강집(松江集五)5 55 페이지 / 전적]
동진(東晋) 때 사람으로 동료 왕도(王導)를 본인도 모르게 임금의 앞에서 그는 죄가 없음을 적극 두호하였다
주벽(主壁)[팔도안희가 7 페이지 / 전적]
사당(祠堂)이나 사원(祠院)에 모신 여러 위패(位牌) 중(中)에서 주장(主張)이되는 위패(位牌)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