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주경야독(晝耕夜讀)[축원하온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낮에는 농사짓고, 밤에는 글을 읽는다는 뜻으로,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꿋꿋이 공부함을 이르는 말.

주공[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39 페이지 / 전적]

「夢周公」-論語에 『吾不復夢見周公』이란 대문이 있음.

주공 동정론(周公東征論)[ 1 페이지 / ]

주공이 동쪽 지방을 정벌한 것에 대한 논문. 주공은 무왕(武王)이 은(殷) 나라를 정벌하여 천하를 통일하자, 주왕(紂王)의 아들 무경(武庚)을 제후왕으로 봉하여 은 나라의 제사를 받들게 하고 서형(庶兄)인 관숙(管叔) 등에게 무경을 감시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무왕이 죽고 어린 성왕(成王)이 즉위하여 주공이 섭정(攝政)을 하게 되자, 관숙은‘주공이 왕위를 노린다‘는 유언비어를 퍼뜨리며 무경과 함께 반란을 일으켰다. 이에 주공은 군을 출동하여 동정(東征)을 단행, 이들을 잡아 처형하였다.

주공 동정론(周公東征論)[고봉선생문집 권삼(高峰先生文集 券三) 146 페이지 / 전적]

주공이 동쪽 지방을 정벌한 것에 대한 논문. 주공은 무왕(武王)이 은(殷) 나라를 정벌하여 천하를 통일하자, 주왕(紂王)의 아들 무경(武庚)을 제후왕으로 봉하여 은 나라의 제사를 받들게 하고 서형(庶兄)인 관숙(管叔) 등에게 무경을 감시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무왕이 죽고 어린 성왕(成王)이 즉위하여 주공이 섭정(攝政)을 하게 되자, 관숙은‘주공이 왕위를 노린다‘는 유언비어를 퍼뜨리며 무경과 함께 반란을 일으켰다. 이에 주공은 군을 출동하여 동정(東征)을 단행, 이들을 잡아 처형하였다.

주공(做工)[삼강오륜가 서 3 페이지 / 전적]

공부나 일을 힘써 하는 것.

주공(周公)[충효가 4 페이지 / 전적]

주(周)나라 무왕의 아우로 이름은 단(旦). 무왕이 죽고 이런 성왕(成王)이 즉위하자 섭정하며 주나라의 기틀을 잡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함. 곡부 땅에 봉해져 노공(魯公)이라 불렸으나 봉지로 부임하지 않고 평생 주나라에 머물며 왕실을 보좌함.

주공(周公)[퇴계선생등루가(退溪先生登樓歌) 1 페이지 / 전적]

중국 주나라 초기의 정치가. 문왕의 아들이요, 무왕의 동생으로 이름은 단(旦).

주공(周公)[궁장가(宮墻歌) 3 페이지 / 전적]

주공(周公) 이름은 단(旦) 주문왕(周文王)의 자(子), 무왕(武王)의 제(弟), 성왕(成王)의 숙부(叔父)이다. 무왕(武王)을 도와 주(紂)를 벌(伐)하고 무왕(武王)이 붕(崩)하였을 때 성왕(成王)이 연유(年幼)하여 주공(周公)이 섭정(攝政)하며 주무경 살관숙 방찰숙(誅武庚 殺館叔 放察叔)하고 제도(制度)와 예악(禮樂)을 정(定)하여 천하(天下)를 다스렸다. 시(謚)는 원(元) 또는 문(文)이라 함.

주공(周公)[권션지로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이름은 단(旦). 주문왕(周文王)의 아들이고 무왕(武王)의 아우로, 무왕의 아들 성왕(成王)을 잘 보필하여 예악정치(禮樂政治)를 실현했던 사람.

주공(周公)[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40 페이지 / 전적]

중국 주나라 초기의 정치가. 문왕의 아들이요, 무왕의 동생으로 이름은 단(旦).

주공(周公)[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26 페이지 / 전적]

「周公辭」- 易 大象을 말함. 易은 伏羲의 八卦, 文王의 彖辭,周公의 爻辭 孔子의 大傳으로 合成된 것임.

주공(周公)[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50 페이지 / 전적]

「周公才」-論語 『泰伯篇에 『雖有周公之才之美 使驕且吝 其餘無足觀也已』라는 대문이 있음. 여기의 一字는 驕字를 들어 말한 것임.

주공(周公)[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26 페이지 / 전적]

「周公詠」― 豳風 七月詩를 周公의 作이라 했으므로 말한 것임.

주공(周公)[ 1 페이지 / ]

중국 주나라 초기의 정치가. 문왕의 아들이요, 무왕의 동생으로 이름은 단(旦).

주공(周公)[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99 페이지 / 전적]

중국 주나라 초기의 정치가. 문왕의 아들이요, 무왕의 동생으로 이름은 단(旦).

주공(周公)[궁장가(宮牆歌) 3 페이지 / 전적]

주(周) 무왕(武王)의 아우, 이름은 단(旦). 무왕을 도와서 주왕(紂王)을 치고, 무왕이 죽은 뒤, 조카 성왕(成王)을 도와서 주(周)왕조의 기초를 굳힘. 유가(儒家)에서 성인(聖人)의 한 사람으로 일컬음. 주공(周公) 단(旦)이라고도 함.

주공(周公)[궁장가(宮牆歌) 3 페이지 / 전적]

주(周) 무왕(武王)의 아우, 이름은 단(旦). 무왕을 도와서 주왕(紂王)을 치고, 무왕이 죽은 뒤, 조카 성왕(成王)을 도와서 주(周)왕조의 기초를 굳힘. 유가(儒家)에서 성인(聖人)의 한 사람으로 일컬음. 주공(周公) 단(旦)이라고도 함.

주공(周公)[명륜가(明倫歌) 45 페이지 / 전적]

주(周)나라 문왕(文王)의 아들이며 중국 주나라의 정치가. 예악(禮樂)과 문물(文物)을 정비하였음.

주공(周公)[오륜가라 6 페이지 / 전적]

문왕의 아들이자 무왕의 동생. 무왕이 죽자 조카를 도와 주(周)나라의 기초(基礎)를 다짐.

주공(周公)[슈절자탄가 7 페이지 / 전적]

중국 주(周)의 정치가. 문왕(文王)의 아들로 성은 희(姬). 이름은 단(旦). 형인 무왕(武王)을 도와 은(殷)을 멸하였고, 주의 기초를 튼튼히 하였다. 예악 제도(禮樂制度)를 정비하였으며,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