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좌우시위(左右侍衛)[금강산유람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좌우 옆에서 모시어 호위함.

좌우의정(左右議政)[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6 페이지 / 전적]

좌의정과 우의정을 아울러 이르는 말.

좌우의평[용문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좌우의 평야. 좌우평야.

좌우이목(左右耳目)[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9 페이지 / 두루마리]

사방에서 보거나 들음.

좌우이목(左右耳目)[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9 페이지 / 두루마리]

사방에서 보거나 들음.

좌우제신(左右諸神)[팔도안희가 10 페이지 / 전적]

여러 신(神)들을 통틀어서 말한다.

좌우첨시(左右瞻視)[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10 페이지 / 두루마리]

양 옆에서 이리저리 둘러봄.

좌우첨시(左右瞻視)[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10 페이지 / 두루마리]

양 옆에서 이리저리 둘러봄.

좌우팔[위옥자회가라(위옥과회가라) 8 페이지 / 전적]

좌우활개. 팔>활개. 활개는 벌리고 있는 팔이나 다리.

좌우피용(左右被容)[계녀사라 8 페이지 / 전적]

가까이에 두고 치장에 소용되는 물품.

좌위군[백세보중(百世葆重 三)3 35 페이지 / 전적]

오위군의 하나로 중앙군에 해당하는 용양위.

좌의정(左議政)[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2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의정부에 속하여 백관(百官)을 통솔하고 일반 정치 및 외교의 일을 맡아 하던 정일품 벼슬. 우의정의 위, 영의정의 아래이다.

좌의정(左議政)[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8 페이지 / 전적]

조선(朝鮮) 시대(時代) 의정부(議政府)의 정1품(正一品) 벼슬, 또는 그 벼슬에 있는 사람. 우의정(右議政)의 위, 영의정(領議政)의 아래에 있어 백관(百官)을 통솔(統率)하고 일반(一般) 정사(政事)와 외교(外交) 등(等)을 처리(處理) 운영(運營)했음.

좌이대사(坐而待死)[시절가 5 페이지 / 전적]

앉아서 죽기만을 기다린다는 뜻으로, 아무 대책이 없이 운수에 맡김을 이르는 말.

좌익(左翼)[셔운가 20 페이지 / 전적]

①급진주의(急進主義).사회주의(社會主義).공산주의(共産主義)②진보파(進步派).혁신파(革新派).

좌익(左翼)[셔운가 20 페이지 / 전적]

①급진주의(急進主義).사회주의(社會主義).공산주의(共産主義)②진보파(進步派).혁신파(革新派).

좌익(左翼)[셔운가 20 페이지 / 전적]

①급진주의(急進主義).사회주의(社會主義).공산주의(共産主義)②진보파(進步派).혁신파(革新派).

좌익(左翼)[셔운가 20 페이지 / 전적]

①급진주의(急進主義).사회주의(社會主義).공산주의(共産主義)②진보파(進步派).혁신파(革新派).

좌임(左袵)[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6 페이지 / 전적]

「左袵」-胡俗은 衣袵을 左로 하므로 胡를 따랐다는 말임. 論語 憲問에「徵管仲 吾其被髮左袵矣」라 하였음.

좌자오향(子坐午向)[한흥가라 7 페이지 / 전적]

묏자리나 집터 따위가 자방(子方)을 등지고 오방(午方)을 바라보는 방향. 정북(正北) 방향을 등지고 정남향을 바라보는 방향이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