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종천지통(終天之痛)[벌교사(벌교) 11 페이지 / 전적]

이 세상에서 더할 수 없는 아픔.

종천한(終天恨)[노졍긔 8 페이지 / 전적]

부모의 초상이 나서 생기는 한.

종천한(終天恨)[노졍긔 8 페이지 / 전적]

부모의 초상이 나서 생기는 한.

종친부(宗親府)[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7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역대 왕의 계보와 초상화를 보관하고, 왕과 왕비의 의복을 관리하며 종반(宗班)을 다스리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 세종 15년(1433)에 제군부(諸君府)를 고친 것으로, 고종 1년(1864)에 종부시를 합하여 그 사무를 아울러 맡았으며, 고종 31년(1894)에 종정부로 고쳤다.

종택[쳑사대희승부가(쳑사희승부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종가(宗家)의 뜻으로 종댁(宗宅)을 두고 표기인 것인 듯하다 ?종가(宗家) : 한 문중에서 맏이로만 이어온 큰집.

종학(宗學)[송강집(松江集四)4 97 페이지 / 전적]

종실(宗室)의 학당(學堂)

종학(縱學)[화전가1 3 페이지 / 전적]

바깥 스승에게 나아가서 배우기를 권장 함.

종학(縱學)[화전가2 3 페이지 / 전적]

바깥 스승에게 나아가서 배우기를 권장 함.

종형(從兄)[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46 페이지 / 전적]

사촌형.

종형(從兄)[헌수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사촌 형.

종형(從兄)[헌수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사촌 형.

종형(從兄)[쌍옥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사촌 형.

종회나리[용문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종회(宗會)날이.

종횡(縱橫)[충효가(忠孝歌) 34 페이지 / 전적]

이곳 저곳 누비고 다님.

종후(從厚)[김대비훈민가(김비훈민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어떤 일을 너무 박하지 아니하게 후한 편으로 좇아서 함.

좆는날의[복션화음록 6 페이지 / 전적]

좇아야 할 날에.

좆차야[셕별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좇아가서.

좋은 열매[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43 페이지 / 전적]

「嘉實」― 竹實을 이름이요 來儀 서경 益稷에 「蕭韶九成 鳳凰來儀」라 하였음. 대개 鳳凰은 丹山에 生하여 梧桐이 아니면 깃들지 않고, 竹實이 아니면 먹지 않고 醴泉이 아니면 마시기 않는다하는 說이 있으므로 쓴 것임.

좋이[환행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별 탈 없이 잘.

좋이[환행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별 탈 없이 잘.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