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종정단정(終情短情)[초한가라 17 페이지 / 전적]
이미 없어진 정과 혹은 짧은 정.
종정옥백(鍾鼎玉帛)[초당춘수곡 10 페이지 / 전적]
산해진미(山海珍味)를 먹기 전에 음악이 연주되고 술을 나눈 뒤에는 옥과 비단의 선물이 제공되는 호화로운 잔치.
종제(從弟)[종매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사촌 동생.
종제(從弟)[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92 페이지 / 전적]
사촌 아우.
종제선근(種諸善根) 선근(善根)[셔왕가 4 페이지 / 전적]
모든 선근을 심는 것. ① 선본(善本). 좋은 과보(果報)를 얻을 수 있는 원인. 곧 선근 공덕(善根功德) 또는 일체 의 선의 근본. 정토교(정토교)에서는 나무아미타불을 일컬음. ② 덕본(德本). 온갖 선을 낳는 근본.
종족(宗族)[답사향곡(답향곡) 7 페이지 / 전적]
성(姓)과 본(本)이 같은 겨레붙이.
종종(淙淙)[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9 페이지 / 전적]
물이 흐르는 소리, 물이 흐르는 모양.
종중건몰(從中乾沒)[심심가(尋心歌) 35 페이지 / 전적]
횡령.
종중건몰(從中乾沒)[심심가(尋心歌) 35 페이지 / 전적]
횡령.
종지법(三從之法)[한별곡 2 페이지 / 두루마리]
예기(禮記) 의례(儀禮) 상복전(喪服傳)에 나오는 말. 여자가 지켜야 하는 세가지 법도. 어려서는 어버이를 따르고, 시집가서 남편을 따르고, 남편이 죽으면 아들을 따른다는 것.
종질(從姪)[냥신낙사가(냥신낙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사촌 형제의 아들로, 오촌이 되는 관계.
종질(從姪)[냥신낙사가(냥신낙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사촌 형제의 아들로, 오촌이 되는 관계.
종질부(從姪婦)[회혼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사촌 형제의 며느리.
종차(從次)[츅친서라 10 페이지 / 전적]
이 다음에.
종차(從次)[아림가(娥林歌) 36 페이지 / 전적]
이 다음에. 혹은 종차(從此). 이 뒤. 또는 이로부터.
종차(從此)[금강산유람가 15 페이지 / 두루마리]
이 뒤. 또는 이로부터.
종차시지(從此始之)[금강산유람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이로부터 시작됨. 이 뒤부터 시작됨.
종척(宗戚)[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3 페이지 / 전적]
왕의 종친과 외척을 아울러 이르던 말.
종천강종지출(從天降從地出)[부부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하늘에서 내려오고 땅에서 솟아남.
종천지통(終天之痛)[별교사(별교) 6 페이지 / 두루마리]
이 세상에서 더할 수 없이 큰 슬픔. 죽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