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종묘(宗廟)[시절가 7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역대 임금과 왕비의 위패를 모시던 왕실의 사당. 왕실을 뜻함.

종묘(宗廟)[지효가(知孝歌) 3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역대 임금과 왕비의 위패를 모시던 왕실의 사당.

종묘(宗廟)[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33 페이지 / 전적]

조선(朝鮮) 시대(時代)에, 역대(歷代) 임금과 왕비(王妃)의 위패(位牌)를 모시던 왕실(王室)의 사당(祠堂).

종묘(宗廟)가 아름답고 백관(百官)이 풍부하니 누가 성인의 문에 들어가기 어렵다 의심할 것[고봉선생문집 권이(高峰先生文集 券二) 15 페이지 / 전적]

성인의 학문을 통달하여 온갖 진리를 쉽게 깨닫는다는뜻. 숙손무숙(叔孫武叔)이 자공(子貢)이 공자(孔子)보다 훌륭하다고 평하자, 자공은‘이것을 궁궐과 담장에 비유하면 나의 담장은 겨우 어깨에 미칠 정도여서 그 안에 있는 집의 아름다움을 볼 수 있으나, 부자(夫子)의 담장은 몇 길이나 되어서 그 문을 찾아 들어가지 않으면 종묘의 아름다움과 백관의 풍부함을 볼 수 없는 것과 같다.‘하였다.《論語 子張》

종묘사직(宗廟社稷)[신정도덕가 4 페이지 / 전적]

종묘는 군주의 선조를 모신 사당. 사직은 백성의 복을 위해 제사하는 국토의 신(神)인 사(社)와 곡식의 신인 직(稷).

종묘사직(宗廟社稷)[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33 페이지 / 전적]

왕실과 나라를 통틀어 이르는 말.

종묘제사(宗廟祭祀)[한양가라 31 페이지 / 전적]

역대 제왕의 위패를 모신 사당인 종묘에 지내는 제사.

종문[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50 페이지 / 전적]

「宗文」― 杜甫의 長子임.杜甫는 宗文, 宗武 二子를 두었음

종물[용문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종물(從物). 어떤 일을 할 때 필요한 물품. 여기서는 놀이에 필요한 재물이나 물건.

종반(宗班)[종매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우리 가문.

종반(宗班)[리행소챙가 83 페이지 / 전적]

성씨가 같은 겨레붙이.

종반(宗班)[자탄가 자탄이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종성(宗姓)과 같은 말로 문중이라는 뜻.

종반(宗班)[긔수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임금의 본종(本宗)이 되는 겨레붙이.

종반(宗班)[신힁가라 2 페이지 / 전적]

임금의 본종(本宗)이 되는 겨레붙이.

종반(宗班)[신힁가라 20 페이지 / 전적]

집안사람. 겨레붙이.

종반(從班)[헌수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사촌.

종반(從班)[헌수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사촌.

종백(宗伯)[송강집(松江集四)4 84 페이지 / 전적]

예조판서(禮曹判書)

종백(從伯)[헌수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사촌 맏형을 남에게 이르는 말.

종백(從伯)[헌수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사촌 맏형을 남에게 이르는 말.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