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종대[명륜가(明倫歌) 10 페이지 / 전적]
서재극의 구술을 기록한 이종대가 자신을 낮추어 자신의 이름을 쓴 것임.
종도(宗道)[율국회초가(뉼국회초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종가집의 법도.
종도(宗道)[율국회초가(뉼국회초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종가집의 법도.
종두남산(種豆南山)[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도연명(陶淵明)이 살았다고 전하는 곳으로 <귀원전거(歸園田居)>에서 나온다.
종두남산(種豆南山)[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도연명(陶淵明)이 살았다고 전하는 곳으로 <귀원전거(歸園田居)>에서 나온다.
종두법(種痘法)[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59 페이지 / 전적]
천연두를 예방하기 위하여 백신을 인체의 피부에 접종하는 방법.
종래세리부동심(從來勢利不動心)[명륜가(明倫歌) 103 페이지 / 전적]
옛날에는 형세와 이익에 마음을 움직이지 않음.
종령(鍾灵)하여[수지장제일 1 페이지 / 전적]
매우 신령하여.
종로(宗老)[기원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문중에서 가장 나이가 많은 어른.
종루(鐘樓)[거창가 1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 한성부의 도성내(內) 전체의 중심이 되는 곳에 종을 달아 맨 누각.
종루(鐘樓)[거창가 1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 한성부의 도성내(內) 전체의 중심이 되는 곳에 종을 달아 맨 누각.
종마겨[소동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종에게 맡겨.
종매(從妹)[종매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친사촌 누이동생을 일컫는 말.
종모지모(從某至某)[한양가라 67 페이지 / 전적]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종묘(宗廟)[이화가젼 14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역대 임금과 왕비의 위패를 모시던 왕실의 사당. 태조 3년(1394)에 착공하여 정전을 짓고 세종 3년(1421)에 영녕전을 세웠으나 임진왜란 때 타 버리고 광해군 즉위년(1608)에 다시 세운 것이 지금 종로 3가에 남아 있음. 1995년에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음.
종묘(宗廟)[이화가젼 14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역대 임금과 왕비의 위패를 모시던 왕실의 사당. 태조 3년(1394)에 착공하여 정전을 짓고 세종 3년(1421)에 영녕전을 세웠으나 임진왜란 때 타 버리고 광해군 즉위년(1608)에 다시 세운 것이 지금 종로 3가에 남아 있음. 1995년에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음.
종묘(宗廟)[한흥가라 54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역대 임금과 왕비의 위패를 모시던 왕실의 사당.
종묘(宗廟)[한흥가라 54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역대 임금과 왕비의 위패를 모시던 왕실의 사당.
종묘(宗廟)[한흥가라 54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역대 임금과 왕비의 위패를 모시던 왕실의 사당.
종묘(宗廟)[한양가라 53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에, 역대 임금과 왕비의 위패를 모시던 왕실의 사당으로 세종 3년(1421)에 영녕전을 세웠으나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선조 41년(1608)에 다시 세웠다. 1996년에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국보 227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