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좌(坐)[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6 페이지 / 전적]
묘가 앉은 자리.
좌(坐)[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6 페이지 / 전적]
묘가 앉은 자리.
좌(坐)[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4 페이지 / 전적]
묘가 앉은 자리.
좌개(座開)[일회심곡(一回心曲) 5 페이지 / 전적]
‘개좌(開座)’. 벼슬아치들이 한데 모여서 사무를 보는 일.
좌계(左契)[송강집(松江集一)1 166 페이지 / 전적]
우계(右契)에 대한 좌계(左契)인데 인부(印符)를 이름.
좌계(座繼)[서가여래가사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줄줄이 앉아 있음.
좌계(座繼)[서가여래가사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줄줄이 앉아 있음.
좌구(坐具)[헌수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앉을 때 밑에 까는 방석.
좌구(坐具)[헌수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앉을 때 밑에 까는 방석.
좌궁우을(左弓右乙)[청림도사궁을전(靑林道士弓乙傳) 6 페이지 / 전적]
궁을(弓乙)에서 궁(弓)은 하늘을 의미하며, 을(乙)은 땅을 의미한다.즉, 궁을은 천지(天地)를 뜻하는데 궁의 음양을 좌궁우궁(左弓右弓), 을의 음양을 좌을우을(左乙右乙)이라고 하기도 한다.또한 천도교의 깃발인 궁을기는 좌궁과 우을, 그리고 중(中)의 삼원으로 구성된다.
좌궁우을(左弓右乙)[합자가(合字歌) 2 페이지 / 전적]
궁을(弓乙)에서 궁(弓)은 하늘을 의미하며, 을(乙)은 땅을 의미한다.즉, 궁을은 천지(天地)를 뜻하는데 궁의 음양을 좌궁우궁(左弓右弓), 을의 음양을 좌을우을(左乙右乙)이라고 하기도 한다.또한 천도교의 깃발인 궁을기는 좌궁과 우을, 그리고 중(中)의 삼원으로 구성된다.
좌궁우을(左弓右乙)[길자가(吉字歌) 2 페이지 / 전적]
궁을(弓乙)에서 궁(弓)은 하늘을 의미하며, 을(乙)은 땅을 의미한다.즉, 궁을은 천지(天地)를 뜻하는데 궁의 음양을 좌궁우궁(左弓右弓), 을의 음양을 좌을우을(左乙右乙)이라고 하기도 한다.또한 천도교의 깃발인 궁을기는 좌궁과 우을, 그리고 중(中)의 삼원으로 구성된다.
좌기(坐起)[회심곡 10 페이지 / 두루마리]
부서의 우두머리가 출근하여 일을 시작하는 것.
좌독(左纛)[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4 페이지 / 전적]
좌쳥룡(左靑龍)의 형세를 말함. 독(纛)은 천자나 대장군의 깃발이므로 정룡(正龍)•간룡(幹龍)을 말함.
좌독(左纛)[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4 페이지 / 전적]
좌쳥룡(左靑龍)의 형세를 말함. 독(纛)은 천자나 대장군의 깃발이므로 정룡(正龍)•간룡(幹龍)을 말함.
좌독(左纛)[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2 페이지 / 전적]
좌쳥룡(左靑龍)의 형세를 말함. 독(纛)은 천자나 대장군의 깃발이므로 정룡(正龍)•간룡(幹龍)을 말함.
좌득파(坐得破)[그리져리구경하고 36 페이지 / 전적]
혈(穴)의 중심인 좌(坐)의 득(得)과 파(破). 혈의 양측으로부터 흘러내리는 수류(水流)의 발원처가 득이고, 수류가 밖으로 빠져나가는 곳이 파(또는 水口)이다.
좌득파(坐得破)[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4 페이지 / 전적]
좌(坐)는 좌향(坐向), 득(得)은 물이 내려오는 곳.파(破)는 물이 흘러 나가는 곳.
좌득파(坐得破)[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16 페이지 / 전적]
좌든 좌향, 득은 물이 흘러드는 곳, 파는 흘러 나가는 곳.
좌랑(佐郞)[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9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 육조의 정육품 벼슬.